고구려 평양성 석편 ( )

목차
관련 정보
고구려 평양성 석편
고구려 평양성 석편
서예
유물
문화재
고구려시대 평양 일원에 성벽을 쌓을 때 각자(刻字)한 성석의 파편.
이칭
이칭
성석편, 고성석각, 故城石刻, 성벽석각, 城壁石刻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1978년 12월 07일 지정)
소재지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신촌동)
목차
정의
고구려시대 평양 일원에 성벽을 쌓을 때 각자(刻字)한 성석의 파편.
내용

197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일명 고성석각(故城石刻) 또는 성벽석각(城壁石刻)이라 한다. 원래의 성석에서 각자 부분을 떼어낸 것으로, 현재 2행이 결실되어 크게 두 조각이 나 있고 전체가 여러 조각으로 균열된 것을 석고로 고착시켰다. 지금까지 평양의 고구려시대 벽에서 각자된 성석은 모두 4개가 발견되었는데, 이 성석은 두 번째로 발견된 것이다.

발견 지점은 1766년(영조 42) 김정희(金正喜)가 평양성 외성(外城) 오탄(烏灘) 아래에서 발견한 기축년명(己丑年銘) 성석과 거의 같은 지점으로 전하는데, 1829년(순조 29) 큰비로 성벽이 무너짐에 따라 발견되었다고 전한다. 1855년(철종 6) 오경석(吳慶錫)이 입수한 것을 아들 오세창(吳世昌)이 보관해 오다가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에서 입수하여 소장하고 있다.

명문은 7행 27자(자경 약 3㎝)로, 내용은 “기유년(己酉年) 5월 21일 여기서부터 아래로 동쪽을 향해 12리를 물성소형(物省小兄) 배백두(俳百頭)가 지휘감독하여 쌓다.”라는 내용이다. 명문 중의 간지인 ‘기유(己酉)’는 『해동금석원(海東金石苑)』 등에 ‘기축(己丑)’으로 수록됨에 따라, 그 동안 김정희가 발견한 기축년명 성석과 함께 장수왕 37년(449) 또는 평원왕 11년(569)으로 추정되어왔다. 그러나 원석이나 고탁본을 보면 ‘기유’임이 분명하므로 장수왕 57년(469)이나 평원왕 31년(589)에 해당된다고 본다.

글씨는 남북조시대의 해서 계통으로 힘찬 방필(方筆)의 경향이 보인다. 당시 공사를 맡은 관리의 사무적 기록이므로 자연스런 필치가 살아 있는데, 청나라의 강유위(康有爲)는 『광예주쌍즙(廣藝舟雙楫)』에서 이 글씨의 서품(書品)을 고품하(高品下)에 열거하면서 높게 평가하였다.

참고문헌

『해동금석원(海東金石苑)』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
『국보』7-석조-(정영호 편, 예경산업사, 1985)
『朝鮮金石攷』(葛城末治, 東京 : 國書刊行會, 1974)
「平壤高句麗城壁石刻文」(鮎貝房之進, 『雜攷』六-上, 1934)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