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요재집 ()

소요재집
소요재집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문신 · 학자, 최숙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13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 학자, 최숙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13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813년(순조 13) 후손인 인점(仁漸)·만점(晩漸) 등이 2권 1책으로 편집, 간행하였고, 1918년 후손 익남(翼南)·형근(亨根) 등이 다시 부록을 추가하여 간행한 것이다. 권두에 서영보(徐榮輔)·김우순(金愚淳)의 구서(舊序)와 민병승(閔丙承)·윤응선(尹應善)의 중간서(重刊序)가 있고, 권말에 박종훈(朴宗薰)의 구발(舊跋)과 중간 발문 4편이 있다.

서지적 사항

4권 2책. 목활자본. 규장각 도서와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등에 있다.

내용

권1∼3에 시 267수, 권4에 기(記)·서(序)·발(跋) 각 1편, 부록으로 서거정(徐居正)·강희맹(姜希孟)·김종직(金宗直) 등의 수창시(酬唱詩) 30수와 묘지명·실기(實記)·방목(榜目)·관직·사우록(師友錄) 등이 실려 있다.

시는 대개 『동문선』이나 기타 야승(野乘)에 수록되어 있는 것을 발췌한 것들로 서정과 기교면에서 수준 높은 작품이 많다.

「궁원(宮怨)」·「서회(書懷)」·「정부사(征婦詞)」·「회문시(回文詩)」·「대동강루(大同江樓)」·「취음(醉吟)」·「압록강전음(鴨綠江餞飮)」·「황성잡영(皇城雜詠)」·「기자묘(箕子墓)」·「송도회고(松都懷古)」·「청심루(淸心樓)」 등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김우순은 서문에서 “문체가 화려하나 순박함이 있고, 단아하면서도 잡박(雜駁)하지 않아 성당(盛唐)의 기풍을 느낄 수 있다.”고 평하였다. 조선 전기의 작품이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된다.

「세심당기(洗心堂記)」·「동인시화후서(東人詩話後序)」·「청구풍아발(靑丘風雅跋)」 등에서도 그의 문학적 성향을 엿볼 수 있다.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