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재집 ()

목차
관련 정보
손재집
손재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조재호의 시 · 소차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조재호의 시 · 소차 등을 수록한 시문집.
서지적 사항

4권 2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자와 편년을 알 수 없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권1·2는 시 438수, 권3·4는 소차(疏箚) 65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여행노정의 감회나 경치를 노래한 감회·서경류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서경시로는 특히 금강산일대의 명승을 돌아보면서 읊은 것이 많은데, 이들 시는 대개 1759년(영조 35) 그가 영돈녕부사로 있을 때 계비책립을 반대, 임천(林川)에 부처(付處)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나와 춘천에 은거하면서 지은 것이다.

「갈현점조발(葛峴店朝發)」을 비롯하여 「도금성현풍일불가류삼일시발(到金城縣風日不佳留三日始發)」·「백탑동(白塔洞)」·「자영원암도백화암잉향표훈사(自靈源庵到白華庵仍向表訓寺)」 등 여행노정에 따라 시를 수록하고 있다. 이어 「만폭동(萬瀑洞)」·「보덕굴(普德窟)」·「마하연(摩하訶衍)」·「해산정월야청고슬(海山亭月夜聽鼓瑟)」·「삼일포(三日浦)」·「해금강(海金剛)」·「양양도중(襄陽途中)」·「낙산사(洛山寺)」·「소양정(昭陽亭)」 등 관동지방에 있는 명승지를 읊은 시가 10여수 된다.

대개 경치를 묘사함에 있어 서정이 두드러질 뿐만 아니라, 신선에 대한 동경심을 발하여 도교사상에 접근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밖에 「농촌잡영(農村雜詠)」 13수와 「천안도중(天安途中)」·「차령도중(車嶺途中)」, 그리고 「백제회고(百濟懷古)」 2수와 「가림잡영(嘉林雜詠)」 44수 등도 그가 불우한 생활을 할 때 쓴 것이다.

소차는 사직소(辭職疏)가 대부분이며, 그 가운데 북도에 흉년이 들어 굶주리는 백성들을 구휼하기 위하여 조정에서 식량을 지원하도록 요청한 내용 등이 있어 우국애민의 정신을 짐작할 수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민식(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