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고문집 ()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권정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0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권정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0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00년(고종 4) 권정하의 조카 권경연(權景淵)과 문인 권석하(權錫夏)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만도(李晩燾)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서지적 사항

4권 2책. 목판본. 규장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에 시 73수, 상언초(上言草) 1편, 권2에 서(書) 29편, 고유문 4편, 제문 18편, 애사 1편, 권3에 기(記) 3편, 지(識) 2편, 행장 8편, 권4에 유사 3편, 묘지 1편, 부록으로 행장·묘지명·행략·만사·제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대개 선비의 담박한 생활상을 담고 있다. 「한중기사(閑中記事)」는 자기가 사는 동네와 집 주위의 그윽하고 아름다운 풍경을 잘 묘사하고 있어 문학적인 정서가 풍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병중만영(病中謾詠)」은 저자의 학구적인 열망이 잘 나타나 있는 시다. 헌증(獻贈)·차운의 시가 여러 수 되며, 만시도 많이 있다. 만시에는 스승인 유치명(柳致明)에 대한 것이 4편 있다.

상언초의 「청복하감사담본직상언(請復河監司澹本職上言)」은 관찰사 하담의 복직을 청원하는 글로, 내용이 매우 섬세하고 간곡하다.

서(書) 가운데 「상정재선생(上定齋先生)」의 문목(問目)은 상례(喪禮)·제례(祭禮)에 대해 유치명에게 질문한 내용이다. 「답김찬옥(答金贊玉)」은 상례에 관해 이황(李滉)·유성룡(柳成龍)·김장생(金長生)·정경세(鄭經世)·이상정(李象靖)·김낙행(金樂行) 등 여러 학자의 설을 인용하여 논변한 장편의 편지이다. 「답변국형태균별지(答邊國衡台均別紙)」는 『중용』의 ‘성(誠)’에 대한 강론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