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권 5책. 석인본. 1959년 아들 용대(龍大)와 문인들이 편집, 간행하였다. 이탁(李鐸)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국립중앙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책머리에 총목차가 있다. 권1에 시 245수, 권2∼4에 서(書) 162편, 권5에 잡저 4편, 권6에 서(序) 3편, 기(記) 14편, 발(跋) 13편, 상량문 5편, 고사(告辭) 7편, 축문 1편, 애뢰문(哀誄文) 5편, 권7에 제문 31편, 권8에 묘지명 7편, 비 1편, 묘갈명 14편, 행장 2편, 권9에 유사 2편, 부록으로 유사 1편, 묘갈명 1편이 수록되어 있다.
시문은 전아(典雅)하고 음률이 절로 난다는 평을 듣고 있다. 시는 만시(挽詩)와 산수시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만시에는 신종호(申鍾浩)·이만도(李晩燾)·김도화(金道和) 등의 이름이 보이며, 산수시에는 경주의 고적과 금강산의 경치를 주제로 한 것이 보인다.
서(書) 가운데 스승 김흥락(金興洛)과 김도화·이만도·권상규(權相圭) 등에게 보낸 것에는 경의(經義)와 예(禮)에 관한 내용이 섞여 있어 저자의 학문적 교류를 보이고 있다.
잡저의 「성학속도(聖學續圖)」는 이황의 『성학십도(聖學十圖)』를 잇는다는 뜻이다. 내용을 보면 대학경일장도(大學經一章圖)·대학경일장(大學經一章)·중용편제(中庸篇題)·향당편도(鄕黨篇圖)·호학론(好學論)·태극도설(太極圖說)·소학제사도(小學題辭圖)·소학제사(小學題辭)·동명도(東銘圖)·동명(東銘)·사물잠도(四勿箴圖)·사물잠(四勿箴)·심경찬(心經贊)·병명(屛銘)·대학연의별록(大學衍義別錄)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북유록(北遊錄)」은 저자가 26세 때 중국에 다녀온 기행문이다. 묘지·묘갈은 남지훈(南之熏)·오정교(吳正敎)·신영석(申永錫)·정신재(鄭信在) 등에 관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