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선곡 ()

고전시가
작품
조선 정조 때의 승려 지형(智瑩)이 지은 불교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정조 때의 승려 지형(智瑩)이 지은 불교가사.
구성 및 형식

1795년(정조 19) 경기도 불암사(佛巖寺)에서 목판본으로 간행하였다. 형식은 4음보 1행 기준으로 모두 87행이다.

내용 및 평가

내용은 사람이 귀천노소 나와 남을 가릴 것 없이 온갖 고초를 타고 세상에 났으나, 선심적덕을 갖추어 행하여 생사이별과 우환이 없는 부동국(不動國)에 태어나도록 하라는 노래이다.

첫부분과 끝부분은 “귀쳔 남녀 로쇼 업시/나의 말삼 들어 보오/인셰상의 나온 몸이/귀쳔 업시 됴타 ᄒᆞ나/……ᄌᆡ물 유무 론치 말고/분을 좃차 닥그시고/쟝겁고통 여의시고/텬당불찰 임의 왕ᄅᆡ/등등임운 놀으시소/남무아미타불”이라 노래하였다.

특히, “석일의 빈가 녀ᄌᆞ 금전 일푼 보시ᄒᆞ고 만승 왕녀 되야 나고” 등 여인의 염불공덕을 열거하여, 부동국에 왕생하기 위한 일체의 선행을 권유한 것으로 보아, 불교가사의 청중은 여신도들이 주대상이었음을 알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불교가사전집』(이상보, 집문당, 1980)
「한국불교가사의 역사적 고찰」(이상보, 『명대논문집』4, 명지대학교, 197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