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영취락 ()

목차
인문지리
개념
조선시대에 수군절도사가 주둔한 수영을 중심으로 형성된 취락.
목차
정의
조선시대에 수군절도사가 주둔한 수영을 중심으로 형성된 취락.
내용

조선시대에는 주요항에 처치사(處置使)·절제사(節制使)를 두었다. 세종 때에는 주진에 수군도안무처치사(水軍都按撫處置使, 뒤에 水軍節度使)를 두었으며, 진영(鎭營)의 크기에 따라 첨절제사(僉節制使)·만호(萬戶) 등을 두었다.

삼남(三南: 慶尙·全羅·忠淸)의 수영에는 수사(水使)가 담당하는 여러 직무를 수행하기 위한 품관(品官)인 우후(虞候)를 두었고, 임진왜란 때에는 전라좌수영인 여수에 통제영을 두어 통제사가 삼도수군을 관할하게 하였다.

조선 초기의 수영은 충청수영(忠淸水營: 保寧)·경상좌수영(慶尙左水營: 東萊)·경상우수영(慶尙右水營: 巨濟島, 뒤에 統營)·전라좌수영(全羅左水營: 麗水)·전라우수영(全羅右水營: 海南) 등이다. 수군절도사가 있었던 수영은 경기도 남양·강화와 황해도 옹진이다.

대표적인 수영취락으로는 여수의 수영을 들 수 있다. 여수수영은 전라좌도수군절도영의 소재지로서 석성(石城)을 축조하고, 바닷길을 통한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동쪽 해협의 수중에 약 100m의 방왜축제(防倭築堤)를 쌓았다.

이 지역을 지키는 수군기지는 1423년(세종 5) 진례만호진(進禮萬戶鎭)에서 옮겨온 내례만호진(內禮萬戶鎭)이었으나, 해안선이 길어서 왜변에 대비하기가 어려우므로 1479년(성종 10) 여수로 옮겨와 수영으로 승격, 신설되었다.

이곳은 왜군이 황해로 진출하는 길목에 있어 군사상 요충지이며, 수사는 5관(五官)·5포(五浦)를 관할하였다. 군병은 해안의 지세와 조수에 정통한 주민들로서, 둔전(屯田)을 경작하여 자급자족하였다.

취락은 만안(灣岸)의 구릉지에 위치하며 주로 수군 기지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석보(石堡)는 여수반도의 중심에 위치하며 경제적 중심지를 이루었고, 돌산(突山)은 지방행정중심지로 큰 취락을 형성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지리(韓國地理)』(권혁재, 법문사, 1988)
『촌락지리학(村落地理學)』(홍경희, 법문사, 1985)
『내고장 여수』(여수시, 1981)
『한국군제사(韓國軍制史)』(육군본부, 1968)
『朝鮮の聚落』(善生永助, 朝鮮總督府, 193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