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명다식 ()

목차
유교
문헌
조선후기 문인 정학유가 『시경』에 나오는 여러 생물(生物)의 이름을 고증하여 1865년에 편찬한 사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문인 정학유가 『시경』에 나오는 여러 생물(生物)의 이름을 고증하여 1865년에 편찬한 사전.
내용

4권 2책. 필사본. 1865년(고종 2) 정학유(丁學游)에 의하여 엮어졌다. 권두에 그의 형 학상(學祥)의 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초(草)·곡(穀)·목(木)·채(菜)·조(鳥)·수(獸)·충(蟲)·어(魚) 등 8개 부문으로 나누어 약 310여종의 물명(物名)을 뽑아 해설하고 있다.

서술형식은 먼저 『시경』 각 장의 편명을 쓰고 물명을 열거하여 주설(注說)을 붙이고 있는데, 인용된 문헌은 『금경(禽經)』·『채보(菜譜)』·『이아(爾雅)』·『본초(本草)』 등이다. 주희(朱熹)의 집주(集註)를 기본으로 삼아 이를 고증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간혹 자신의 견해를 붙인 곳도 발견된다.

『시경』은 물명이 가장 풍부한 경서(經書)로 물명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시경』의 경의(經義) 해석에는 어려운 점이 많다. 또한, 여기에 나오는 물명들은 본래 중국의 것이어서 우리나라의 물명과는 차이점이 많다. 우리나라의 물명을 모아 상세히 해설한 책으로는 유희(柳僖)의 『물명고(物名考)』가 있는데, 『시경』의 물명을 이해하는 면에 있어서는 이 책과 상호보완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