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극좌 ()

연극
단체
1910년대에 설립되었던 신파 극단.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10년대에 설립되었던 신파 극단.
개설

1916년에 신파극단 예성좌(藝星座)가 해산되자, 1917년 혁신단(革新團)의 단원이었던 배우 김도산(金陶山: 본명 金永根)을 대표로, 이경환(李敬煥)·변기종(卞基鍾)·서재원(徐在元)·이원규(李元圭)·윤혁(尹赫)·홍연현(洪延鉉)·김소진(金少珍)·나효진·김영덕·한철순 등 혁신단 단원과 예성좌 단원이 모여 발족한 신파극단이며, 대구의 부호(富豪) 정인기(鄭麟基)의 재정적 후원을 받았다.

연원 및 변천

극단 신극좌는 서울과 지방을 돌아다니면서 신파극「의기남아(意氣男兒)」·「견이불견(見而不見)」·「은의(恩義)의 발포(發砲)」·「캬츄샤」·「비파성(琵琶聲)」·「덕국토산(德國土産」·「천리마(千里馬)」등을 공연하였다. 1919년 11월 이후에는 활극(活劇)「시우정(是友情)」과 같은 연쇄극(連鎖劇)을 주로 상연하였다.

특히 1919년에 우리나라 영화의 효시가 된 연쇄극「의리적 구투(義理的仇鬪)」를 비롯해서「형사고심(刑事苦心」, 1920년「의적(義賊)」 등을 공연했으나, 크게 흥행하지는 못했다. 1920년 2월에는 구력망년흥행(舊曆忘年興行)으로 취성좌(聚星座)와 합동공연을 가졌으나, 단장 김도산이 사망하자 해산되었다. 이 극단은 임성구(林聖九)의 혁신단, 이기세(李基世)의 문예단(文藝團), 김소랑(金小浪)의 취성좌 등과 함께 1910년대 신파극을 대표하던 초창기 신파극단이며, 아직 토착화되지 않은, 왜색이 짙은 신파극을 공연하였다.

의의와 평가

우리 나라 영화의 효시인 연쇄극을 최초로 공연한 극단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한국 근·현대 연극 100년사』(한국 근·현대 연극100년사 편찬위원회, 집문당, 2009)
『한국연극반세기』(강계식, 현대교육출판부, 1986)
『한국신극사연구』(이두현,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6)
「1910년대 연극사 연구」(한갑수, 고려대학교 석사논문, 198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