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무대 ()

연극
단체
1930년대에 활약하였던 상업극단.
이칭
이칭
협동신무대
정의
1930년대에 활약하였던 상업극단.
설립목적

신무대는 1931년 9월에 극단 조선연극사(朝鮮硏劇舍)에서 탈퇴한 신불출(申不出)·이종철(李鍾哲)·전경희(全景希)·이원재(李元在) 등과 성출(成出)·송해천(宋海天) 등이 모여 조직하였다. 이들은 신불출의 주재로 희극을 목표로 출발하였으며, ‘희극의 총본영’임을 자처하였다.

연원 및 변천

신무대는 창립공연으로 1931년 9월에 단성사(團成社)에서 신불출이 쓴 향토극「아리랑 반대편」과 송해천(宋海天)이 번안한「옛집이 그리워」, 안광익(安光翊)의 번안희극「쌍초상」을 공연하였다. 주로 이 극단은 단성사를 본거지로 삼아 활발하게 활동했으며, 1932년부터는 지방순회 공연을 하였다.

극단 신무대는 1932년 7월, 같은 해 3월에 탈퇴하여 예술좌예술좌(藝術座)라는 분파를 만들었던 임서방(任曙昉)·하지만(河之滿) 등 단원 일부가 복귀하면서 협동신무대(協同新舞臺)로 개칭하였다가, 1934년 매일신보사(每日申報社) 후원으로 남부 지역 순회공연을 시작하면서 다시 신무대로 개칭하였다.

1932년 9월부터 이 극단은 연쇄극(連鎖劇)「젊은이여 울지 말자」·「홍길동전」등을 만들었고, 나운규(羅雲奎)를 감독으로 맞아들여「암굴왕(巖窟王)」·「아리랑」등을 단성사에서 상연하였는데, 이들 연쇄극은 1933년까지 주요 공연작품이었다.

1934년 지방순회공연을 다니면서부터는 비극과 희극·시대극·현실풍자극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공연하였고, 당시 활약하였던 이운방(李雲芳) 작「청년」·「기생」·「그는 왜 울어야할까」, 김진문(金振文) 작「숙영낭자전」·「정열의 에디오피아」·「동심」, 임선규(林仙圭) 작「학생가」·「제2의 운명」·「호천비혼」, 박영호(朴英鎬) 작「거룩한 손님」·「목화」등의 작품을 공연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 극단은 국내뿐만 아니라 만주까지 순회공연을 다닐 만큼 인기를 끌었던 신파극단이었지만, 1935년에 동양극장이 설립되어 그 전속극단들이 맹활약하면서부터 쇠퇴하기 시작해, 결국 지방을 떠돌다가 1937년 5월 공연을 마지막으로 해체되었다. 이 극단은 1930년대 상반기에 대중연극이 뿌리를 내리는데 절대적인 기여를 했다고 평가된다.

참고문헌

『한국 희곡사 연표』(민병욱, 국학자료원, 1994)
『한국연극반세기』(강계식, 현대교육출판부, 1986)
『한국신극사연구』(이두현,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6)
「한국연극사 제2기」(서항석, 예술논문집 17, 대한민국예술원, 1978)
매일신보(每日申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