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전자취염초방언해 ()

언어·문자
문헌
1635년 군기시에서 이서가 화약의 원료를 만드는 방법에 대하여 편찬한 군서. 병서 · 언해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635년 군기시에서 이서가 화약의 원료를 만드는 방법에 대하여 편찬한 군서. 병서 · 언해서.
개설

1635년(인조 13)에 이서(李曙)가 무고(武庫)인 군기시(軍器寺)에서 편찬하여 간행한 언해본으로, 염초(焰硝) 즉, 화약의 원료를 만드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화포식언해(火砲式諺解)』와 합철되어 있다.

이와 유사한 『신전자초방언해(新傳煮硝方諺解)』는 『신전자취염소방언해』를 수정하여 간행한 책이나, 『화포식언해』와 『신전자취염소방언해』가 합철되어 있는 문헌이 있다는 점에서 다른 책임을 알 수 있다.

편찬/발간 경위

『신전자취염소방언해』의 앞에 보이는 시말(始末)과 『신전자취방언해』의 끝에 보이는 득초시말법(得硝法始末)에 이 문헌을 간행하게 된 동기가 기록되어 있다. 즉 염초자취(焰硝煮取)하는 일이 쉽지 않아 매양 중국에서 사왔지만, 그 양이 넉넉지 못해 늘 근심하였었는데, 별장(別將)인 관서(關西) 사람 성근(成根)이 중국에 포로로 잡혀갔다 온 사람들과 중국 사람에게 물어서 틈틈이 시험하여 익혔다고 한다.

서지적 사항

목판본. 이 책은 현재 세 가지 이본이 전하는데, 모두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원간본은 구안춘근 소장본으로 『화포식언해』와 함께 한 책으로 묶여 있으며, 책의 끝에 최명길의 발문과 간기 崇禎八年八月日刊(숭정팔년팔월일간)이 있다.

중간본인 두 번째의 책은 1685년(숙종 11)에 중간되었다는 간기와 감교관(監校官)의 이름이 더 적혀 있다. 즉 숭정팔년팔월일간 후오십년을축정월일중간 감교관부사과김익찬(崇禎八年八月日刊 後五十年乙丑正月日重刊 監校官副司果金益粲)으로 되어 있고, 『화포식언해』와 필사본인 『매화법(埋火法)』과 합철되어 있다. 이 책 역시 서문은 없고, 원간본과 동일한 최명길의 발문이 있다.

세 번째의 책은 1685년판의 복각본으로 1796년(정조 20)에 간행된 것이다. 『화포식언해』와 함께 1698년(숙종 24)에 김지남이 지어 간행한 『신전자초방언해』의 중간본인 1796년판까지 덧붙여 합본되어 있다.

판식과 판광이 1685년판과 동일하여 복각본임을 알 수 있다. 중간본은 책의 끝에 보이는 발문에도 차이가 있어서, 중간본에는 몇 글자가 빠져 있다.

내용

이서(李曙)는 화약제조법을 만드는 순서에 따라 취토(取土)·화합(和合)·증백(蒸白)·재토(滓土)·본수(本水)·작회(作灰)·안부(安釜)·열조(列槽)·재토(載土)·재수(載水)·기화(起火)·초련(初煉)·재련(再煉)·삼련(三煉)·총식(摠式)·비물(備物)의 열다섯 조목으로 나누어 기술하여 찬집하였고, 최명길(崔鳴吉)이 발문을 써서 간행하였다.

앞에는 일정한 부분으로 구분된 한문 원문이 있고, 그 뒤에는 언해문이 실려 있다. 한문 원문에는 한글로 된 한자음과 한글구결이 달려 있고, 언해문에도 한자음이 달려 있다.

초간본과 중간본에 나타나는 한글 표기의 차이를 보면 아래의 [표]와 같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병서(兵書) 연구뿐만 아니라 17세기의 국어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여 준다. 특히 여러 이본들과 비교할 때, 표기법의 변천 및 음운의 변천을 연구할 수 있다.

참고문헌

『화포식언해』(최두환 역주해, 해군사관학교, 1997)
「신전자취염소방언해에 대한 국어학적 고찰」(황문환, 『장서각』 4, 2000)
「신전자초방(언해)에 관한 국어학적 고찰」(황문환, 『정신문화연구』 69, 199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