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집어의촬요방 ()

목차
의약학
문헌
고려후기 의학자 최종준이 다방에서 수집한 경험방에 우수한 방문을 보충하여 1226년에 편찬한 의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후기 의학자 최종준이 다방에서 수집한 경험방에 우수한 방문을 보충하여 1226년에 편찬한 의서.
내용

2권. 인본. 이규보(李奎報)의 『동국이상국집』에 실려 있는 이 책의 서문에 의하면, 종래부터 고려 궁중에서 전해오던 다방(茶房)에서 수집한 약방 중에 신효한 방문들이 있었으나 오랜 세월에 거의 탈락, 폐실되어감을 저자가 애석히 여겨 고종의 재가를 얻어 2권으로 나누고 다시 긴요한 많은 방문들을 첨부하여 ‘신집어의촬요방’이라 이름하고 평양유수에 보내 1226년에 간인(刊印), 반포하였다.

이 책은 이미 산일되었으나 조선 세종 때 편성한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중에 12방문이 채록되어 있어 이 책의 편모를 조금이라도 살필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이 방문에 응용된 주치병증(主治病症)과 주요약재들은 중국 한의방의 지식 전통을 거의 그대로 받아왔다.

그러나 당나라의 고전의방서인 『외대비요(外臺秘要)』나 송나라의 칙찬(勅撰)인 『성제총록(聖濟總錄)』과 비교하여보면 그 약재들의 실용방법에 있어서는 일치되지 않는 것을 적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은 이 방서가 당·송의 의학지식을 기초로 하여 자기나라의 풍습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경험술법을 발전시키는 데 노력해온 증거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한국의학사(韓國醫學史)』(김두종, 탐구당, 197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