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학집략 ()

목차
유교
문헌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강영지가 여러 경전에서 심학에 대한 주요 구절을 발췌하여 풀이한 주석서. 유학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강영지가 여러 경전에서 심학에 대한 주요 구절을 발췌하여 풀이한 주석서. 유학서.
내용

1책. 목판본. 1920년 아들 장수(章秀)와 손자 윤섭(允燮)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조호래(趙鎬來)의 서문, 권말에 장수와 윤섭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호의 구분 없이 이기(理氣)·인의(仁義)·도덕(道德)·성경(誠敬)·예악(禮樂) 등의 5개 편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기편은 35개 구절, 인의편은 12개 구절, 도덕편은 21개 구절, 성경편은 9개 구절, 예악편은 20개 구절을 『태극도설(太極圖說)』·『논어』·『맹자』·『대학』·『중용』·『서전』·『주역』·『단서(丹書)』·『악기(樂記)』·『예기』 등에서 뽑아 본문으로 싣고 있다.

각 구절에 대해 정호(程顥)·정이(程頤)·주희(朱熹) 등 주로 송대 유학자들의 주석을 인용, 해설하고 있다. 주석과 해설은 쌍행(雙行)의 작은 글자로 권표(圈標: ○표)로 표시해 인용처를 분명히 밝히고 있다.

우리나라 유학자의 주석을 인용한 흔적은 없고, 다만 편자 자신의 학적 소견을 밝힌 것을 여러 곳에서 발견할 수 있어 그의 심득(心得)한 바를 나타내 주고 있다. 그러나 그의 학적 소견이란 것도 어디까지나 정주(程朱)의 학설을 부연 설명하는 것에 그치고 있을 뿐이다.

특히, 이기편의 인심도심(人心道心)을 논하는 대목 등에서도 당시 분분하던 우리나라 성리학계의 쟁점들을 전혀 논급하지 않고 있는 점으로 볼 때, 그가 어떤 파당적 논쟁에 가담하기보다는 정주학의 원론적 학설에 충실하고자 노력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권두의 서문에는 편자가 70여 평생 단표자락(簞瓢自樂)의 소박한 생활로 심성 공부와 후진 양성에 전념한 은덕군자(隱德君子)였음을 소개하고 있다.

집필자
이민식(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