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학집설 ()

목차
관련 정보
심학집설(권상) / 태극도 및 심성정의도
심학집설(권상) / 태극도 및 심성정의도
유교
문헌
조선후기에 심학에 관한 선유의 제설을 모아 엮은 유학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에 심학에 관한 선유의 제설을 모아 엮은 유학서.
내용

2권 1책. 목판본. 편자는 미상이나 ‘영사헌집록(永思軒輯錄)’이라고 되어 있다. 서문과 발문이 없으며, 간행연도도 알 수 없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수의 목록에 의하면, 권상은 천인수수일태극도(天人授受一太極圖)·심성정의도(心性情意圖)·심·허령지각(虛靈知覺)·미발이발(未發已發)·조존사망(操存舍亡)·성(性)·인물성(人物性)·기질성(氣質性)·정성(定性)·심성정(心性情)·정의(情意)·지의(志意)·사려(思慮)·존양성찰도(存養省察圖) 등 15개 조목, 권하는 유체달용도(由體達用圖)·인(仁)·인의·신·욕·공경·효제·충서(忠恕)·도·덕·성(誠)·참삼도(參三圖) 등 13개 조목으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도표로 된 것은 해설을 함께 싣고 있으며, 각 편목에 부서(附序) 또는 부잠(附箴) 등으로 서론이나 잠언적인 내용의 글을 부기하고 있다.

본문의 내용은 대개 주자(朱子)·정자(程子)를 비롯한 중국 선유들의 학설을 인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우리나라 학자의 설을 소개한 것은 거의 보이지 않는데, 다만 권상의 ‘심성정’을 해설함에 있어 이상정(李象靖)의 『대산문집(大山文集)』에서 발췌, 수록한 것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