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죽재화보 ()

목차
회화
문헌
명나라의 서화가 호정언(胡正言 : 1582-1671)이 채색된 판화제작기술로 펴낸 화보집. 화첩.
이칭
이칭
십죽재서화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명나라의 서화가 호정언(胡正言 : 1582-1671)이 채색된 판화제작기술로 펴낸 화보집. 화첩.
내용

1627년에 간행된 십죽재서화보(十竹齋書畵譜)는 중국판화사에서 최고봉이며 판화제작기술에서 한 시대의 획을 긋는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사군자화와 영모화 등의 채색법에 특히 많은 영향을 준 이 십죽재화보가 서울에 들어온 것은 1700년대 초였다. 아름다운 오채판화집(五彩版畵集)인 십죽재화보는 10여 그루의 대나무를 심고 즐겨보면서 집 이름을 스스로 십죽재(十竹齋)라 한 호정언이 지은 이름이다.

내용은 서화책(書畫冊), 묵화보(墨華譜)‚ 과보(果譜)‚ 영모보(翎毛譜)‚ 난보(蘭譜)‚ 죽보(竹譜)‚ 매보(梅譜)‚ 석보(石譜)의 여덟 분야로 나누어져 있고, 한 분야는 그림 20폭과 해설 20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팔종보(八種譜)·매종이십도(每種二十圖)·일도일문(一圖一文)이라는 뜻이다. 그림은 호정언·오빈(吳彬)·오사관(吳士冠) 등 20여명이 그렸고, 해설문은 수십 명이 썼다.

조선시대에 이 채색화보를 보고 배우면서 모방작을 남긴 화가는 수십 명인데 정선(1676∼1759)·심사정(1707∼1769)·강세황(1713∼1791)·김홍도(1745∼1806?) 등이 유명하다. 특히 심사정은 가장 많은 영향을 받아 중국냄새가 짙은 그림을 남기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십죽재서화보와 조선 후기 회화 문화의 변화-강세황과 그 주변 인물들을 중심으로」(차미애, 『조선시대 회화의 교류와 소통』,사회평론, 2014)
「십죽재서화보연구」(허영환, 『미술사학』 6, 미술사학연구회, 199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