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명세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예문관검열, 승정원주서 등을 역임하였으며, 을사사화의 전말을 담은 시정기를 작성하다 처형된 문신.
이칭
경응(景應 또는 慶應)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18년(중종 13)
사망 연도
1548년(명종 3)
본관
순흥(順興: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
주요 관직
승정원주서
관련 사건
을사사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예문관검열, 승정원주서 등을 역임하였으며, 을사사화의 전말을 담은 시정기를 작성하다 처형된 문신.
개설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경응(景應 혹은 慶應). 아버지는 부호군 안담(安燂)이다. 박영(朴英)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44년(중종 39)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정원가주서·예문관검열 등을 지냈다.

1545년(인종 1) 이기(李芑)·정순붕(鄭順朋) 등이 을사사화를 일으켜 많은 현신(賢臣)들을 숙청하자, 자세한 전말을 춘추필법에 따라 직필(直筆)한 시정기(時政記)를 작성하였다. 사관(史官)으로서의 노고를 인정받아 가자(加資)되기도 하였고, 이듬해에는 승정원주서에 올랐다.

그러나 1548년(명종 3) 이기 등이 자신들의 행위를 정당화시키기 위하여 이른바 『무정보감(武定寶鑑)』을 찬집할 때, 을사년 당시 함께 사관으로 있었던 한지원(韓智源)이 시정기의 내용을 이기·정순붕에게 밀고함으로써 체포되어 국문을 당하였다.

문제가 된 시정기에는 인종의 장례식 전에 윤임(尹任) 등 3대신을 죽인 것은 국가적인 불행이라는 지적과, 이기 등이 무고한 많은 선비들을 처형한 사실, 그리고 이를 찬반하던 선비들의 명단 등이 담겨 있었다.

국문을 당하면서도 소신을 굽히지 않고 당당하게 이기·정순붕의 죄악을 폭로하였고, 사형에 임해서도 의연한 모습을 남겼다. 1567년 선조가 즉위한 뒤 1570년에 신원(伸寃)되어 직첩(職牒)을 다시 돌려받았다.

참고문헌

『인종실록(仁宗實錄)』
『명종실록(明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성암유고(省菴遺稿)』
『선조실록(宣祖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을사전문록(乙巳傳聞錄)』
『해동잡록(海東雜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