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악 1호분 ( )

목차
선사문화
유적
북한 황해남도 안악군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인물풍속도 관련 벽화무덤. 횡혈식석실분.
목차
정의
북한 황해남도 안악군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인물풍속도 관련 벽화무덤. 횡혈식석실분.
개설

1949년 4월 북한의 물질문화유적조사보존위원회에 의해 제1차로 조사되고, 1957년 5월 북한의 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 중앙력사박물관, 신의주력사박물관에 의해 제2차로 조사되었다.

내용

고분의 봉토는 많이 깎여 내렸으나 방대형의 본래모습은 어느 정도 지니고 있다. 묘실의 구조는 연도(羡道)와 방형의 현실(玄室)로 이루어진 외방무덤[單室墳]이다.

현실의 네 벽은 석회암·화강암 등의 한 면이 평탄한 크고 작은 편석(片石)을 진흙과 석회를 섞어서 정연하게 쌓아올렸다. 네 면의 벽선은 약간 만곡이며 그 위에는 면회를 단정하게 발랐다. 천장은 벽면과 평행하는 3단의 평행굄으로 좁혀올리고 다시 2단의 3각굄으로 공간을 좁혀 그 꼭대기 한복판을 1장의 판석으로 덮은 평행3각굄천장이다.

연도는 현실 남벽에 동쪽으로 약간 치우쳐 있고 연도와 현실 사이에는 좌우로 열리게 된 2장의 돌문이 있다. 그리고 연도 입구는 1장의 큰 판석을 세우고 그 위에 잡석을 쌓아서 막았다.

벽화의 내용은 인물풍속도이나 박락이 심해 전모를 알기 어려운데 네 벽과 천장 전부에 그림을 그렸다.

벽화의 배치상태를 보면, 현실 네 모서리에는 두공·기둥을 그려서 목조건물같이 보이게 하였고, 북벽에는 전면에 걸쳐 전각도(殿閣圖)가 그려져 있다. 전각도는 2층 전각을 중심으로 주위에 지붕 이은 담을 두르고 골기와 지붕을 가진 큰 대문이 있다. 서벽에는 상부에 수렵도(狩獵圖)가 있고, 하부에는 7명의 여인입상(女人立像)이 그려져 있다.

동벽에는 윗부분에 붉은 깃발을 든 의장행렬(儀仗行列)이 있고, 아랫부분에는 3대의 우교차(牛轎車)가 그려져 있는데 모두 남쪽을 향하고 있다. 남벽에는 동벽에서 계속되는 행렬도의 일부가 그려져 있는데 윗부분에는 기수(旗手) 4명이 서쪽을 향해 전진하고, 아랫부분에는 말탄 인물이 흐릿하게 보인다.

천장은 인동무늬·불꽃무늬·연꽃무늬·두겹고사리무늬·구름무늬·톱날무늬·보륜무늬 등 다양한 무늬와 가공의 동물·천인·서금(瑞禽)·서수(瑞獸)·해·달·별 등을 그려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참고문헌

『한국(韓國)의 벽화고분(壁畵古墳)』(김기웅, 동화출판공사, 1982)
『한국벽화고분(韓國壁畵古墳)』(김원룡, 일지사, 1980)
「안악 제1·2호분 발굴보고」(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 편찬실, 『유적발굴보고』 1958년 4집, 과학원출판사)
집필자
김기웅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