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촌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 학자, 배응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4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 학자, 배응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884년(고종 21) 황재영(黃在英)이 편집, 8세손 한식(漢植)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연하(權璉夏)의 서문, 권말에 황재영의 발문과 한식의 후지가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261수, 부(賦) 3편, 권3에 소(疏)·기(記) 각 1편, 서(書) 5편, 제문 4편, 논(論) 1편, 잡록 2편, 권4는 부록으로 행장·묘갈명·만사·별사이건상량문(別祠移建上樑文)·상향축문(常享祝文)·박소고선생문인록(朴嘯皐先生門人錄)·경산지인물조(京山誌人物條)·조천시별장(朝天時別章)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우정을 주제로 한 회억, 증별(贈別), 화답의 시가 많다. 「월야여정도가온화억김숙부(月夜與鄭道可穩話憶金肅夫)」는 정구(鄭逑)와 함께 김우옹(金宇顒)과의 우정을 추억하며 지은 것으로, 고상한 의취(意趣)를 풍긴다. 정구와 김우옹에게 기증한 시가 여러 편 있다. 「희증정도가(戱贈鄭道可)」는 정구가 자기보다 1년 연장이라는 것을 과시한다는 내용의 유희적 표현의 산물이다.

「증이굉중(贈李宏仲)」은 이덕홍(李德弘)과의 우정을 읊은 시로, 임진년의 전란 속에 살아남은 기쁨을 서사적으로 표현한 칠언체의 장편이다. 이밖에 「증승천오(贈僧天悟)」 등 승려에게 기증한 시도 4, 5수가 있어 그가 불교 취향이 있었음을 엿볼 수 있다.

부의 「복검(伏劍)」은 왕릉(王陵)의 어머니가 왕릉이 군신의 의리를 지키도록 하기 위해 자결하였다는 고사를 소재로 지은 것이다.

소의 「사충청도사소(辭忠淸都事疏)」는 1595년(선조 28)에 낸 사직소다. 논의 「공명자교부서론(孔明自校簿書論)」은 관리의 직무 태도에 대한 논설이다.

잡록의 「청량산유상록(淸凉山遊賞錄)」은 청량산을 유람하며 지은 일기식 기행문이고, 「한거수록(閒居隨錄)」은 1600년 약 1년간의 일기이다. 부록의 「조천시별장」은 1602년 저자가 중국에 갔을 때 지은 시문이다.

집필자
이민식(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