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로 ()

목차
고대사
제도
동부여의 관명(官名), 혹은 집단의 이름.
목차
정의
동부여의 관명(官名), 혹은 집단의 이름.
내용

410년(永樂 20년)에 광개토왕(廣開土王)이 동부여를 정벌하였을 때, 고구려 군대가 수도인 여성(餘城)에 이르자 동부여가 나라를 들어 항복하였다.

그 뒤 광개토왕이 개선하여 돌아올 때 광개토왕의 은덕을 흠모한 미구루압로(味仇婁鴨盧)·비사마압로(卑斯麻鴨盧)·숙사사압로(肅斯舍鴨盧) 등, 다섯 압로가 광개토왕을 따라와 고구려에 내항하였다.

이 압로의 성격에 대해서는, 성(城)의 뜻으로 보는 설, 동부여 각지역을 대표하는 귀족과 같은 존재로서 가(加)나 간(干)과 같은 의미를 지닌 칭호로 보는 설, 이동 가능한 취락을 칭하는 설, 5압로를 5부(部)와 같은 성격으로 보는 설 등이 있다. 정확한 것은 알 수 없으나, 압로의 의미는 개인보다는 집단의 뜻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참고문헌

「광개토왕비문(廣開土王碑文)」
『광개토왕릉비』(박시형, 1966)
「광개토왕릉비(廣開土王陵碑)」(노태돈, 『역주한국고대금석문(譯註韓國古代金石文)』1, 한국고대사회연구소편, 1992)
「광개토왕(廣開土王)의 웅략(雄略)」(이병도, 『한국고대사연구(韓國古代史硏究)』, 박영사, 1976)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