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심헌유고 ()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양성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42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양성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42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842년(헌종 8) 양성린(1674~1770)의 5대손 양경식(梁京植)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하기현(河琪鉉)·박상석(朴尙錫)의 서문, 권말에 족손 양종호(梁鍾浩)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3권 1책. 석인본.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수에 목록이 있고, 권1에 시 95수, 권2에 기(記) 3편, 서(序) 2편, 발(跋) 2편, 변(辨) 1편, 만사 4수, 응시문답(應試問答) 5편, 서의(書義) 116편, 권3에 부록으로 시증(詩贈) 7수, 추천장 6편, 묘갈명·행장·건사통문(建祠通文)·상향축문(常享祝文) 등 11편, 종유록(從遊錄)·문인록(門人錄)·통고문(通告文)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 「알경암문선생(謁敬庵文先生)」은 저자가 16세 때 처음으로 문동도에 찾아가 가르침을 받고 그 감회를 읊은 것으로, 저자의 시재(詩才)를 짐작하게 한다. 「송(松)」·「죽(竹)」·「매(梅)」·「국(菊)」·「연(蓮)」 등의 영물시는 화훼초목(花卉草木)의 무정물(無情物)을 대상으로 유정(有情)·무정(無情)이 자문자답하는 시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특이하다.

그밖에 차운시 「차문의오진사계남십경운(次文義吳進士溪南十景韻)」은 송림(松林)·모연(暮煙)·잔조(殘照)·명월(明月)·초가(樵歌)·목적(牧笛) 등 전원 풍경을 노래한 서경시로 서정성이 두드러진다.

기의 「흥학당중수기(興學堂重修記)」에는 저자의 교육 사상이 나타나 있다. 서(序)의 「연방록서(蓮榜錄序)」에는 저자의 향리에서 사마시에 합격한 사람의 명단과 합격 연도, 인적 사항 등이 기록되어 있다.

변의 「태극재동정선후(太極在動靜先後)」는 주돈이(周敦頤)의 『태극도설(太極圖說)』을 분석해 태극과 동정의 선후 관계를 자세히 논변한 글이다. 이 밖에 응시 문답이나 서의는 모두 과거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습작한 글이다.

집필자
이민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