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래는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에 주류를 이루었던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무늬 형식인데, 그것은 마치 빗살[櫛齒] 같은 시문 도구(施文道具)로 그어서 나타낸 것이라 하여 빗살무늬라고도 부른다.
빗살무늬토기에는 촘촘하게 이빨이 있는 무늬 새기개로 누르거나 그어서 점·금·동그라미 등의 기하학 무늬를 베푼 다양한 무늬를 나타내고 있으나, 신석기시대의 가장 특징적인 무늬는 어골문 양식이다. 최고(最古)의 빗살무늬토기는 부산 동삼동 패총의 중층(中層)에서 비롯된다.
어골문은 구연부(口緣部)의 짧은 사선(斜線)무늬 띠 밑 기복부(器腹部)에 새겨졌는데, 그 모양은 평행 사선문대(平行斜線文帶)로 상하 두 줄의 띠를 사선 방향으로 서로 바뀌도록 배치하여 생선뼈 비슷한, 이른바 어골문을 시문(施文)한 것이다.
이 무늬 형식을 횡주어골문(橫走魚骨文)이라 하며, 평행 사선문대를 좌우 두 줄의 띠로서 사선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한 것을 종주어골문대(縱走魚骨文帶)라 부르고 있다.
이 토기의 직선적·추상적인 무늬는 남방 농경지대(農耕地帶)의 곡선적(曲線的)인 무늬와는 전통을 달리하고 있는데, 그것은 북방 수렵어로(狩獵漁撈) 주민의 미술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어골문은 7, 8개의 사선으로 띠를 이루고 그것을 ‘V’자 모양으로, 또는 ‘<’ 모양으로 연속시켜서 이루어진다. 그렇게 구성, 전개된 무늬는 토기 이외에도 골각기(骨角器) 등 각종 출토 유물에서 유사하게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