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사화 ()

목차
관련 정보
평생도병 / 어사화
평생도병 / 어사화
의생활
개념
조선시대 문무과에 급제한 사람에게 임금이 하사하던 종이꽃.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문무과에 급제한 사람에게 임금이 하사하던 종이꽃.
내용

급제한 사람의 방을 발표할 때(方榜儀, 唱榜儀) 홍패(紅牌)·개(蓋)와 더불어 어사화를 하사하여 복두(幞頭) 뒤에 꽂게 하였다.

≪용재총화 慵齋叢話≫에 따르면, 참대오리 2개를 종이로 감고 비틀어 꼬아서 군데군데에 다홍색·보라색·노란색의 꽃종이를 꿰었다고 한다. 유물에서 볼 때 어사화는 2개의 대오리 밑부분을 종이로 함께 싸서 묶고, 위로는 대오리가 각각 벌어지도록 하였다.

이런 대오리를 2조(組)로 하여 맨 아래에는 꽃받침으로 간주되는 커다란 종이를 꽂고 위에는 청·황·홍색의 종이꽃을 여러 개 붙였다.

급제한 사람은 이러한 어사화의 한쪽 끝을 복두 뒤에 꽂고, 다른 한끝은 명주실로 잡아매어 머리 위로 휘어넘겨서 입에 물고 3일유가를 하였다고 한다.

참고문헌

『한국복식사연구』(류희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0)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홍나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