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울무덤

목차
선사문화
개념
둘 이상의 시신을 무덤 하나에 함께 묻는 무덤양식. 합장묘.
이칭
이칭
합장묘(合葬墓)
목차
정의
둘 이상의 시신을 무덤 하나에 함께 묻는 무덤양식. 합장묘.
개설

‘합장묘(合葬墓)’라고도 한다. 홑무덤[單葬]에 대응하는 말이다. 희생(犧牲)으로서 순장자(殉葬者)를 넣은 것은 포함되지 않는다. 구석기시대부터 시작되어 선사시대·역사시대에도 그 예가 많이 보이고 있다.

내용

합장의 종류에는 같은 시기에 죽은 사람들을 편의상 함께 매장하는 경우, 죽은 시기가 다른 이들을 애당초 계획을 세워 순차적으로 묻는 추가장(追加葬)의 성격을 띤 경우(이 경우는 보통 부부 또는 가족의 경우가 많으며, 좁은 의미의 합장), 그리고 우르의 왕묘(王墓)나 은허(殷墟)의 대묘(大墓) 등과 같은 순장(殉葬)의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순장된 사람들은 자신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왕 또는 권력자의 죽음에 따라 같이 묻혀진 것이다. 좁은 의미의 합장 형태는 다음의 세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같은 분구(墳丘) 내에 위치를 바꾸어 제2, 제3의 주검을 매장하는 방법으로 일본의 전기·중기 고분에서 많이 보인다. 둘째, 고구려의 장군총, 공주의 무령왕릉이나 순흥 읍내리 고분처럼 같은 묘실 내에 관을 병치하는 식으로 중국에서는 진한(秦漢) 이후에 많이 보이며, 우리 나라와 일본에서는 횡혈식석실분에서 많이 보인다. 이는 애초부터 추가장을 염두에 두고 무덤을 축조한 것으로 필요할 때마다 수시로 합장이 가능하다. 셋째, 같은 관 속에 유골을 추가로 집어넣는 것으로 부부묘나 가족묘의 경우이다. 한편, 신라의 쌍무덤(표형분:瓢形墳)인 경주 황남대총의 경우는 북분과 남분의 분구가 서로 맞물려 있다. 이는 부부가 서로 각자의 분구를 가지면서 분구를 연속시킨 형태로 합장한 것인데, 합장묘의 특이한 예로 부부묘로서 인정되고 있다.

참고문헌

「경주 황남대총 구조에 대한 일고찰」(이은석, 『고고역사학지』15, 연봉이용현선생 정년퇴임기념특집 동아시아의 고대동경, 동아대학교 박물관, 1999)
『순흥읍내리 벽화고분 발굴조사보고서』(대구대학교박물관, 1995)
『황남대총Ⅰ-북분-』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86)
『圖解考古學辭典』(水野淸一·小林行雄 編, 創元社, 1959)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