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조손동강대학문 ()

목차
관련 정보
어제조손동강대학문
어제조손동강대학문
유교
문헌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세손(정조)과 『대학』을 강론하며 논평을 편집하여 1775년에 간행한 어제(御製). 경전해설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세손(정조)과 『대학』을 강론하며 논평을 편집하여 1775년에 간행한 어제(御製). 경전해설서.
내용

불분권 1책. 활자본. 1775년(영조 51) 판중추부사 김양택(金陽澤) 등의 교정으로 간행되었다. 권말에 김양택·채제공(蔡濟恭) 등 10인의 교정제신의 명단이 있다.

먼저 영조 자신이 『소학』과 『대학』을 공부하게 된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소학』은 13세 때 궐내에서 곽시징(郭始徵)으로부터, 『대학』은 19세에 이현익(李顯益)에게 배운 뒤 다시 28세 때 명륜당에 입학하여 익혔다고 한다.

또한, 경일장(經一章)과 전십장(傳十章)의 구성내용과 요지를 설명한 뒤, 주희(朱熹)의 「보망장 補亡章」에 대하여 그 공효를 높이 사고 있다. 이어 치국의 근본이 『대학』의 격물치지에 있다 하고, 조선의 종사(宗社)를 지켜온 명법(命法)이 여기에 있다고 하였다. 끝으로 「보망장」의 구절을 인용하여 정조에게 면려를 당부하였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이민식(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