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노부 ()

목차
고대사
제도
삼국시대, 고구려 초기의 오부(五部) 중 하나인 정치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초기의 오부(五部) 중 하나인 정치체.
내용

『삼국지』 동이전(東夷傳) 고구려조에 처음 나타난다. 『한원(翰苑)』에 인용된 『위략(魏略)』과 『후한서』 고구려전에는 소노부(消奴部)로 되어 있다. 그래서 ‘연(涓)’을 ‘소(消)’의 잘못으로 보고, 소노를 『삼국사기』에 전하는 주몽(朱蒙)과 패권을 다투었다는 비류국(沸流國)의 왕인 송양(松讓)과 같은 실체로 보는 설이 제기되어 왔다.

또한, 소노의 ‘노’를 ‘나(那)’ · ‘내(內)’로도 표기한 것은 ‘내[川]’의 음을 딴 것이고, 양(讓 · 襄 · 壤)으로 표기한 것은 그 뜻을 새긴 것이다. 그 뜻은 모두 냇가[川邊]나 계곡의 집단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보여진다.

송(松)과 소(消)는 그 음이 통하므로, 소노와 송양은 같은 집단을 다르게 표기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송양왕은 특정한 인물의 이름이 아니라, 소노의 장이라는 뜻이 된다. 그리고 송양왕의 비류국이란 비류수(沸流水) 상류에 있던 소노부로 이해된다.

한편, ‘연(涓)’을 ‘소(消)’자로 보는 견해에 대하여, 『후한서』가 의거한 『위략』과 『한원』에 인용된 『위략』은 이본(異本) 『위략』으로서 『삼국지』의 편찬에 기본자료가 되었던 원래의 『위략』보다 후대에 와서 옮겨 적은 것이기 때문에 그 사료적 가치가 떨어지므로, 『삼국지』의 기사에 따라 ‘연(涓)’으로 보는 것이 옳다는 설도 있다. →고구려오부, 소노부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지(三國志)』
『한원(翰苑)』
『후한서(後漢書)』
「고구려국호고(國號考)」(이병도, 『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1976)
『동이전(東夷傳)의 문헌적 연구』(전해종, 일조각, 198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