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군읍지 ()

목차
관련 정보
연일군읍지
연일군읍지
인문지리
문헌
경상북도 연일군(현 포항시 연일읍)의 연혁 · 인문지리 ·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읍지.
이칭
이칭
경상북도연일군읍지(慶尙北道延日郡邑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연일군(현 포항시 연일읍)의 연혁 · 인문지리 ·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읍지.
내용

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표지에는 ‘慶尙北道延日郡邑誌(경상북도연일군읍지)’로 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고종 말기에 편찬된 『연일현읍지』가 장서각 도서에 있고, 일제강점기 때에 편사된 『영일현읍지(迎日縣邑誌)』가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관직(官職)·성씨(姓氏)·산천(山川)·풍속(風俗)·능침(陵寢)·방리(坊里)·호구(戶口)·전부(田賦)·군액(軍額)·성지(城池)·임수(林藪)·창고(倉庫)·군기(軍器)·관애(關阨)·진보(鎭堡)·봉수(烽燧)·학교(學校)·단묘(壇廟)·총묘(塚墓)·불우(佛宇)·공해(公廨)·누정(樓亭)·도로(道路)·교량(橋梁)·도서(島嶼)·제언(堤堰)·장시(場市)·역원(驛院)·목장(牧場)·형승(形勝)·고적(古蹟)·토산(土産)·진공(進貢)·봉름(俸凜)·환적(宦蹟)·과거(科擧)·인물(人物) 등으로 되어 있다.

임수·능침·관애조는 항목은 있으나 내용은 없으며, 방리조에는 면리별로 위치와 관문(官門)과의 거리가 기재되었다. 전부조에는 한전(旱田)·수전(水田)·전세(田稅)·대동(大同)·균세(均稅)·요역(徭役)·화세(火稅)별로 종목과 수량이, 제언조에는 순제(蓴堤)를 비롯한 35개 관개용 저수지의 위치와 규모가 기재되어 있다.

수령선생안(守令先生案)인 환적조에는 고려시대 이인부(李仁夫)와 조선시대 어득호(魚得湖)를 비롯한 현감 160명의 이름과 체임(遞任: 벼슬을 갈아냄) 사유가 적혀 있고, 인물조에는 정습명(鄭襲明)·정몽주(鄭夢周) 등의 명신과 효자·열녀가 실려 있다.

특기할 사항은 창고조에 읍창(邑倉)·포항창(浦項倉)이 있고 장시조에도 포항창이 나와 그 당시의 포항의 위치와 지명 유래를 알려주고 있다는 점이다.

참고문헌

『영일현읍지(迎日縣邑誌)』
『영남읍지(嶺南邑誌)』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