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주문 ()

목차
관련 정보
경주 부부총 금귀걸이
경주 부부총 금귀걸이
공예
개념
점이나 작은 원을 구슬을 꿰맨듯 연결시켜 만든 문양.
목차
정의
점이나 작은 원을 구슬을 꿰맨듯 연결시켜 만든 문양.
내용

작은 원은 가느다란 붓대롱 같은 시문구(施文具)로 눌러서 연속무늬를 이룬 것으로 곧 구슬무늬를 말하는 것이다.

연주문은 본래 동그라미 중앙에 점이 찍혀 있는 고리점무늬[圓圈文 또는 點圓文]·겹고리무늬[同心圓文]와는 구별하여 쓰지만 대개 같은 연주문 형식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연주문은 금속공예품과 토기·도자기 등에 시문되었다.

신라토기에서는 컴퍼스를 돌려 만든 고리점이나 겹고리무늬를 연속하여 시문하기도 하는데, 물고기나 동물모양의 토우(土偶) 몸체에 새겨진 고리무늬는 대롱 같은 시문구로 찍어 나타낸 것으로, 금·은제 관식(冠飾)과 각종 장신구에서 찾아볼 수 있다.

연주문이 가장 성행한 시기는 통일신라기라 할 수 있다. 특히 불교공예(佛敎工藝)의 장식무늬로 주로 나타나며 연판문대(蓮瓣文帶)나 보상당초문대(寶相唐草文帶)의 테두리에 둘러지고 있다. 통일신라 및 고려시대의 동종(銅鐘)과 사리장치(舍利裝置)·금고(金鼓) 등에는 소점(小點)과 구슬무늬가 촘촘하게 둘러져 장식되고 있다.

통일신라시대 문양의 특색을 이루는 인화문(印花文) 기법에 의한 연주문은 당시의 골장용기(骨藏容器)의 특징적인 의장형식이며 주로 영락(瓔珞)의 표현에 나타난다. 그러한 시문기법은 고려도자(高麗陶磁)와 조선도자(朝鮮陶磁)에 상감기법(象嵌技法) 등으로 나타난다.

영락문이 새겨진 유물의 성격과 양상을 볼 때 그 형식은 주로 금공의장 기법에서 비롯된 듯한데, 특히 불교미술의 성행과 함께 그에 관계되는 유물에서 널리 나타난다.

참고문헌

『한국미술전집(韓國美術全集) -토기(土器)·토우(土偶)·와전(瓦塼)-』(진홍섭 편, 동화출판공사, 1974)
『토기와 청동기』(한병삼,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4)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임영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