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천 남계리 유적 ( )

목차
관련 정보
연천 남계리 유적 출토 석기
연천 남계리 유적 출토 석기
선사문화
유적
경기도 연천군 군남면에 있는 석기시대 구석기의 양면기 · 긁개 · 주먹도끼 등이 출토된 생활유적.
목차
정의
경기도 연천군 군남면에 있는 석기시대 구석기의 양면기 · 긁개 · 주먹도끼 등이 출토된 생활유적.
개설

유명한 연천 전곡리의 구석기시대 유적지로부터 서북방향으로 2.5㎞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전곡리 구석기시대 유적과 동일하게 한탄강 강안 대지상에 놓여있다. 위적의 위치는 한탄강 하류에 속하며 해발은 50m이다. 이 유적에서 서남방향으로 2.5㎞되는 지점에 한탄강과 임진강이 합류하는 합수구가 있다.

이 유적의 발굴은 제1차 발굴이 1989년 8월 26일∼9월 30일, 제2차 발굴은 1992년 11월 26일∼12월 27일에 실시되었다. 제1차 발굴 때에는 벽돌공장부지 조성지역을 조사했으며, 제2차 발굴 때에는 제1차 발굴지역으로부터 동남방향으로 약33m 지점의 논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제1차 발굴지역은 벽돌공장부지 조성시 남은 일부를 발굴했으나 유적 자체의 파괴가 매우 심해 소기의 성과도 거둘 수 없었다. 그러나 제2차 발굴지역은 유적의 보존상태가 양호해 퇴적 층위의 성격을 상세히 파악할 수 있었다.

내용

제1차 발굴은 4개의 작은 구덩이(pit)를 발굴하였다. 각 구덩이의 크기는 4.5m×4.5m이다. 원래 5개의 구덩이를 설정했으나, 제2피트는 유적 위에 성토한 흙의 붕괴위험 때문에 발굴하지 않았다. 유물은 제1피트의 3·4층에서 출토되었으며, 나머지 3개의 피트에서는 3층에서만 출토되었다.

상기한 4개의 피트 중 제5피트의 퇴적 층위가 가장 양호하게 보존되어 있었다. 층위(남벽)는 표토 10∼12㎝(두께), 2층 갈색점토 14∼18㎝, 문화층인 3층 심갈색점토 50∼40㎝, 4층 황적색점토 54∼70㎝, 5층 황갈색점토 40∼40㎝, 6층 심황갈색점토 30∼40㎝, 7층 황적색점토 60∼34㎝, 8층 심갈색점토 46∼54㎝ 두께이다. 출토된 석기는 모두 27점으로 양면기·긁개·첨두기·조각기·밀개·양극 석편제긁개 등이다.

4개의 피트 중 제1피트의 3·4층위만 문화층이며, 기타 3개 피트는 3층만 문화층이다. 3층에서 출토된 석기유형에 따르면 후기 구석기시대 이른 시기에 해당된다. 석기는 석편석기 위주로서 긁개, 밀개, 첨두기, 조각기 등이며 4층 석기는 긁개·밀개·첨두기·석핵 및 석편 등이 출토되었다. 이 석기 중 양극석편의 존재는 중기 구석기시대의 이른 시기에 해당된다.

제2차 발굴지역은 군남면 남계리 116-1번지이다. 제1차 때 발굴된 제5피트의 서쪽으로 약 5m 지점에 하나의 수직단면을 파내려 갔다(깊이 4.2m, 너비 1.6m).

이 단면은 제1차 발굴(1989)에 대한 재확인과 제2차 발굴(1992)에 대한 기준을 세울 계획이었다. 이 단면은 제1차의 제1피트에서 동남방향으로 24m, 제2차의 제1피트에서 서북방향으로 33m 지점이었다.

층위는 모두 7층이다. 1층은 경작토, 2층은 적갈색점토(또는 양토 : Loam), 3층 황적색점토, 4층(3개의 소층위로 나누어짐)은 적황색점토(또는 양토), 5층 심갈색점토, 6층 심갈색양토, 7층은 현무암반이다. 이 중 4층은 남계리 구석기시대의 표준단면이다. 이 층위의 일부가 사태에 의해 퇴적된 것이 확인되었다.

제2차 발굴은 6개의 구덩이를 발굴하였다. 유물은 3, 4층에서만 출토되었다. 이 중 제4피트의 2층에서는 긁개·첨두기·송곳·밀개 등 소형 석기들이 출토되어 후기 구석기시대 말기에 해당된다.

그리고 기타 피트의 3층 유물은 주먹도끼·클리버·긁개·홈석기·톱니석기 등으로 후기 구석기시대 이른 시기에 해당된다. 기타 피트의 4층에서는 원형 돌마치·긁개 등이 출토되어 중기 구석기시대 이른 시기에 해당된다.

한탄강 오른쪽 강안단구의 점토퇴적층 내의 남계리 유적 2층은 후기 구석기시대 늦은 시기(서기전 20만년), 3층은 후기 구석기시대의 이른 시기(서기전 3만 5000년), 4층은 중기 구석기시대의 이른 시기(서기전 8만∼7000년)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층위의 예들은 전곡리 구석기시대 층위의 상대편년 설정에도 적용되리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보성강·한탄강유역 구석기유적』(문화재연구소, 1994)
『연천(漣川) 남계리(楠溪里) 구석기유적(舊石器遺蹟)』(문화재연구소, 1991)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최무장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