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인돌은 송신동을 중심으로 해 석장골·평촌·화산동 등 오덕산 골짜기 여기저기에 수십 기씩 무리를 이루고 있다. 1971년 가을 석광준(石光濬) 등에 의해 고인돌과 함께 집터 1기, 돌둘림 유적[環狀列石] 1기가 발굴 조사되었다.
고인돌의 대부분은 북방식에 속하는 것들로서 돌무지시설로 만든 묘역(墓域)의 유무에 따라 두 형식으로 구분된다. 묘역이 있는 것은 2기 이상의 매장시설이 서로 다른 덮개돌 밑에 있고, 묘역이 없는 것은 돌방만을 칸막이 판돌을 질러 세워 3, 4개의 독립된 방으로 만들고 있다. 이것은 이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특이한 양식이다.
평촌지구에서 조사된 고인돌은 모두 5기이다. 이 중 제10·11호 고인돌은 같은 돌무지 내에 만들어진 것이다. 원래 이 돌무지 내에는 모두 3기가 각기 2m 간격을 두고 남북으로 가지런히 배치되어 있었으나 이 중 2기만 발굴이 이루어졌다.
제10호 묘는 비교적 돌방의 규모가 작은 것으로서 길이 85㎝, 너비 60㎝, 높이 45㎝이다. 돌방 위에는 얇은 뚜껑돌〔蓋石〕을 덮고, 다시 그 위에 230㎝×180㎝, 두께 30㎝되는 돌방의 규모에 비해 큰 덮개돌을 얹었다. 돌방 내부에서 팽이그릇조각과 돌살촉 1점이 출토되었고, 돌방 밖의 돌무지에서 돌도끼 1점과 토기파편이 수습되었다.
제11호 묘는 제10호 묘의 북쪽 2m 거리에 위치한다. 조영방법은 제10호 묘와 비슷하다. 4매의 판석을 Ⅱ자 모양으로 조립한 돌방의 크기는 140㎝×80㎝이다. 그 위에 320×280㎝, 두께 35㎝의 덮개돌이 얹혀졌다. 돌방 내부에서 대퇴골(大腿骨)과 돌검의 몸조각이 출토되었다.
이 밖에 제9·19호가 조사되었으나 모두 심하게 교란된 상태에서 조사가 이루어졌다.
석장골지구에서는 모두 2기가 발굴 조사되었다. 제2지점 제2호 고인돌의 돌방 크기는 1.6m×1m, 높이 1m이다. 그 위에는 440㎝×240㎝, 두께 40㎝의 대형 덮개돌이 얹혀 있었다.
돌방 내부는 3매의 판석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칸막이돌로 세워 3, 4개의 작은 구획으로 나누어 고인돌로서는 매우 특이한 구조를 보여 주었다. 돌방 내의 서쪽 칸에서 대퇴골조각 1개가 수습되었다. 나머지 제3지점 제1호와 제1지점 고인돌은 파괴, 교란된 상태에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