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성지장통기 ()

목차
관련 정보
열성지장통기
열성지장통기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시대 왕실 인물들에 대한 공식 기록들을 모아 엮은 인명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왕실 인물들에 대한 공식 기록들을 모아 엮은 인명록.
내용

숙종실록에 1681년(숙종 7)에 교서관(校書館)에서 ≪열성지장≫을 간행한 기록이 처음 보이며, 그 증보편이 1688년과 1719년에 간행된 사실이 있다.

그 뒤 1758년(영조 34)에 숙종과 경종에 대한 기록을 추가하고 앞 시기의 잘못된 것을 바로잡은 것이 간행되었다. 1779년(정조 3)에는 그 사이의 변동 사항을 덧붙인 것이 새로 간행되었다. 또한 정조 이후의 인물들에 대한 것은 1865년(고종 2)에 간행되었다.

이 ≪열성지장통기≫는 최종적으로 완성된 책의 일부분을 이루는 내용이 한 임금이나 왕후에 대한 개별적인 책으로 간행되기도 하였다. 또한 국가에서 공식적으로 간행한 것 외에도 한글판·필사본 등 여러 종류가 같은 제목으로 전해지고 있다.

내용은 태조의 선계인 목조(穆祖)·익조(翼祖)·도조(度祖)·환조(桓祖)로부터 시작해 태조 이하 철종까지의 역대 임금들과 그 비(妃)들에 대한 행장(行狀)·지문(誌文)·신도비명(神道碑銘)·능지문(陵誌文)·천릉지문(遷陵誌文)·비음기(碑陰記)·시책문(諡冊文)·애책문(哀冊文)·죽책문(竹冊文)·반교문(頒敎文)·교명문(敎命文)·고문(誥文)·추숭제문(追崇祭文)·추숭책문(追崇冊文)·종묘악장(宗廟樂章)·악장(樂章) 등의 기록들이 수록되어 있다.

현재 확인할 수 있는 책으로는 1688년(숙종 14)에 간행된 15권 7책의 것이 가장 이른 시기의 것이다. 이 책은 활자본으로, 목조 이하 현종까지의 기록이 그 왕후들에 대한 것과 함께 모아져 있으며 목록과 범례가 실려 있다.

인조대부터 현종대까지의 내용인 권13∼15는 필사본으로 채운 것이 규장각도서에 있다. 1719년본은 동평위(東平尉)정재륜(鄭載崙) 등이 앞의 구본에 단종에 대한 내용과 인경왕후(仁敬王后)와 인현왕후(仁顯王后)의 것을 첨가해 20권 10책의 활자본으로 간행한 것이다.

권1에 목조∼환조, 권2에 태조 및 신의왕후(神懿王后)와 신덕왕후(神德王后), 권3에 정종·정안왕후(定安王后), 권5에 세종·소헌왕후(昭憲王后), 권6에 문종·현덕왕후(顯德王后), 권7에 단종·정순왕후(定順王后), 권8에 세조·정희왕후(貞熹王后), 권9에 덕종·소혜왕후(昭惠王后), 권10에 예종·장순왕후(章順王后)·안순왕후(安順王后) 등에 관한 내용을 수록하였다.

권11에 성종·공혜왕후(恭惠王后)·정현왕후(貞顯王后), 권12에 중종·단경왕후(端敬王后), 권13에 인종·인성왕후(仁聖王后), 권14에 명종·인순왕후(仁順王后), 권15에 선조·의인왕후(懿仁王后)·인목왕후(仁穆王后), 권16에 원종·인헌왕후(仁獻王后), 권17에 인조·장렬왕후(壯烈王后), 권18에 효종·인선왕후(仁宣王后), 권19에 현종·명성왕후(明聖王后), 권20에 인경왕후·인현왕후에 대한 기록을 수록하였다.

소장처는 장서각·규장각·성균관대학교·일본 오사카시도서관(大阪市圖書館)·김두종(金斗鍾)·간송미술관(澗松美術館) 등이다. 1758년본은 홍계희(洪啓禧) 등이 왕명에 의해 편간한 것이다.

기왕의 ≪열성지장통기≫에 그간의 변동 사항을 증보해 22권 14책의 활자본으로 간행한 것이다. 권20에 숙종·인경왕후·인현왕후·인원왕후(仁元王后), 권21에 경종·단의왕후(端懿王后)·선의왕후(宣懿王后), 권22에 정성왕후(貞聖王后)에 대한 것을 실었다.

소장처는 장서각·규장각·연세대학교·이화여자대학교·중경도서관 등 여러 곳이다. 1779년본은 김치인(金致仁) 등이 왕명에 의해 위의 간행본에 그간의 변동 사항인 영조·진종(眞宗)의 것을 증보한 것이다.

권22에 영조·정성왕후(貞聖王后), 권23에 진종·효순왕후(孝順王后)를 실어 모두 23권 16책의 활자본으로 간행한 것이다. 이 책은 규장각도서·장서각도서에 부분적으로 있다.

1865년본은 ≪열성지장통기≫의 마지막으로 편간한 것으로, 정조대 이후의 인물들에 대한 기록을 모두 종합해 28권 23책, 활자본으로 간행하였다.

권24에 정조와 효의왕후(孝懿王后), 권25에 순조와 순원왕후(純元王后), 권26에 익종까지를 합해 1837년(헌종 3)에 편간한 것과 권27에 헌종과 효현왕후(孝顯王后)의 것인 ≪경릉지장 景陵誌狀≫을 1850년(철종 1)에 편간한 것과, 그리고 권28에 철종의 지장인 ≪예릉지장 睿陵誌狀≫을 1864년(고종 1)에 편간한 것 등을 모두 종합한 것이다.

이 책이 간행될 때 서문은 따로 붙여지지 않았으나, 범례에서 위의 책 모두의 경과를 잘 나타내도록 단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은 1779년분 이후의 것이 부분적으로는 규장각도서와 장서각도서에 있고, 1865년분의 종합적인 것은 장서각도서에 있다.

그 밖에 목조부터 성종과 공혜왕후·정현왕후까지의 기록을 실은 한글판 사본 11권 4책이 장서각도서에 있다. 이 밖에도 위의 책의 부분들이 창덕궁·국립중앙도서관·공주교육대학교 도서관·충남대학교 도서관·휘문고등학교 및 김석순(金錫淳)·유해엽(柳海)·대판시도서관·중국국립도서관·하버드대학 등에 소장되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