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불보권문 ()

목차
관련 정보
언어·문자
문헌
경상북도 예천 용문사에서 명연이 불가의 여러 경전을 토대로 염불을 권하는 글을 엮어 1704년에 간행한 언해서.
목차
정의
경상북도 예천 용문사에서 명연이 불가의 여러 경전을 토대로 염불을 권하는 글을 엮어 1704년에 간행한 언해서.
내용

1책. 목판본.

원래의 명칭은 ≪대미타참략요초요람보권염불문 大彌陀懺略要抄要覽普勸念佛文≫이다. 앞에 서문이 있고, 이어서 제자종본우사명진씨승감(弟子宗本于四明陳氏承感)을 비롯하여 오장국왕견불왕생(烏長國王見佛往生)·세자동녀권모왕생(世子童女勸母往生)·왕랑반혼전(王郎返魂傳) 등이 실려 있다.

이 책은 이본(異本)이 여럿 있다. 대표적인 이본으로는 1765년(영조 41)에 구월산 흥률사(興律寺)에서 간행한 것, 1776년에 합천 해인사(海印寺)에서 간행한 것, 그리고 1787년(정조 11)에 무장 선운사(禪雲寺)에서 간행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해인사에서 간행한 것도 몇 가지의 이본들이 전한다.

이 책의 이본들 간에는 내용상의 차이점이 있다. 1776년 간행의 해인사본에는 흥률사본에 있는 <제자종본우사명진씨승감> 등이 빠져 있고, 대신 <아미타불인행 阿彌陀佛因行>·<여ᄅᆡ십대발원문>·<나옹화샹셔왕가>·<인과문>·<현씨행적 玄氏行跡)> 등이 더 들어 있다. 선운사본은 해인사본의 복각본일 가능성이 많다.

복각하면서 부분적으로 첨삭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 책에 보이는 국어학적 특징을 해인사본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t구개음화는 물론, k구개음화와 h구개음화 현상이 나타난다[심히 죠하 젼줄 듸 업고(염불 4a), 션씨ᄒᆡᆼ젹(현씨행적 2a)].

② i움라우트 현상이 보인다[과글니 주거셔 시왕○ 재펴 가니(염불 18a), 네 우리를 만히 쥐견ᄂᆞ니라(염불 19b), 뎡토문을 귀경ᄒᆞᆫ니(염불 43b)].

③ 어두된소리화 현상이 보인다[○근(현씨행적 3a), ᄭᅥᆺᄭᅥ낼ᄌᆡ(염불 44a)]. ④ 다음과 같은 자료가 보여서 이 문헌이 방언적 요소를 많이 반영하고 있음을 알려준다[ᄆᆞᄉᆞ미(염불 37b),ᄆᆞᄉᆞᆷ애(염불 38b), 블체님이(염불 47a)].

흥률사본과 해인사본의 한 종류가 1954년 경북대학교대학원 국어국문학연구자료로 후쇄(後刷)되었고, 이들을 또다른 해인사본과 함께 1986년 태학사(太學社)에서 영인한 바 있다.

이 책은 18세기의 국어연구, 특히 남부방언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여 줄 뿐만 아니라 국문학연구와 불교의 연구에도 좋은 자료를 제공하여 준다. 규장각도서·장서각도서·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