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모재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영모재유고(권5) / 향약서 및 향약절목
영모재유고(권5) / 향약서 및 향약절목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김도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8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김도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2책. 목활자본. 1928년 후손 기환(基煥)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윤희구(尹希求)의 서문과 권말에 김병식(金秉植)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4는 시 276수, 권5는 서(序) 7편, 기 3편, 제문 2편, 통문(通文) 1편, 단자(單子) 1편, 권6은 부록으로 세계·연보·행장·묘갈명·묘지명 각 1편, 기(記) 3편, 시 32수, 만사 43편, 유사·발각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가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는데, 「억심상사제순(憶沈上舍悌淳)」·「억나우사희(憶羅友士希)」·「증유상사승(贈柳上舍乘)」 등의 오언절구와 「증김우정상(贈金友正相)」 등의 칠언절구는 대개 친구·친지들에게 지어준 인정시(人情詩)이다.

오언사율은 「영천도(詠天道)」·「영지리(詠地理)」·「영인사(詠人事)」·「영정심(詠正心)」 등 대부분 이학시(理學詩)로 되어 있으며, 칠언사율은 「도화(桃花)」·「장미(薔薇)」·「국화(菊花)」 등 영물(詠物)의 시가 많다.

서(序) 가운데 「향약서부향약절목(鄕約序附鄕約節目)」은 향약에 관한 절목·조직·운영·벌칙 등을 상세히 기술한 글이다. 절목은 선목(善目)과 악목(惡目)으로 구분하여 선목에 효(孝)·우애(友愛) 등 10개 항목, 악목에 도박(賭博)·호송(好訟)·조언(造言) 등 10개 항목을 열거하였다.

그 조직과 운영방법으로는 집강(執綱) 1명, 직월(直月) 1명, 각 마을에 이장(里長) 1명을 두고, 각 면(面)에 별독(別督) 1명씩을 두어 집강의 사환(使喚)으로 임명하며, 집강이 규약위반자를 관청에 보고하면 사류(士類)와 상인(常人)을 구분하여 상·중·하로 처벌하도록 되어 있다.

집필자
이민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