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기대문언두 ()

목차
관련 정보
예기대문언두
예기대문언두
언어·문자
문헌
『예기』의 경본문에 구결을 한글로 달아 6권 6책으로 간행한 유교서.
목차
정의
『예기』의 경본문에 구결을 한글로 달아 6권 6책으로 간행한 유교서.
내용

6권 6책. 무신자(戊申字)로 된 활자본. 한문에 구결을 다는 일을 현토(懸吐), 한글로 된 구결을 언토(諺吐)라고 하는데, 이 책의 발문에서는 그것을 ‘현두(懸讀)·언두(諺讀)’라고 하였으므로 서명의 ‘諺讀’는 흔히 ‘언독’이라 하나 ‘언두’라야 한다.

발문에 의하면, 세종이 성삼문(成三問)·신숙주(申叔舟) 등에게 『예기』에 구결을 달게 하여 『예기집설대전(禮記集說大全)』의 난 위에 얹어 간행하게 하였는데, 홍문관의 계품(啓禀)으로 강연(講筵)의 참고를 위하여 교서관에서 활자로 정해년에 간행하였다고 한다.

이 정해년은 『고선책보(古鮮冊譜)』와 국내의 고도서목록에서 1767년(영조 43)으로 비정하고 있으나, 『고친 한글갈』과 『청분실서목(淸芬室書目)』에 따라서 1707년(숙종 33)으로 생각된다. 남학명(南鶴鳴)의 장서인을 가지는 책이 있을 뿐 아니라, 숙종의 『예기』에 대한 경연(經筵)이 거의 끝난다는 『숙종실록』의 기사(숙종 35년 9월 戊子)가 발문의 내용과 합치하기 때문이다.

판본은 무신자본 2종이 있다. 행관(行款)과 책 내용이 같으나 사주(四周)의 변선이 쌍변과 단변으로 다르다. 단변본에는 “燭不見跋 則左右屛而待”(권1)의 첫 자가 ‘獨, 側’으로 된 잘못도 있다. 이들 두 판본의 간행시기는 앞뒤가 확인되지 않는다. 같은 무신자인 활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쌍변본이 앞서 간행된 것으로 추정될 뿐이다.

구결은 발문에서 말한 바와 같이 『예기집설대전』의 난 위에 있는 구결과 동일하나, 표기법과 고형인 조사가 근대국어의 것으로 바뀐 것이 다르다. 가람본 『예기집설대전』(권13)의 구결과 이 책(권3)을 비교하면,“然後에ᅀᅡ, 將適公所ᄒᆞᆯᄊᆡ, 唯世歸옷”의 구결이 ‘에아·에야, 홀ᄉᆡ, 은’으로 바뀐 것이다. 이 책의 구결은 국어사와 유교경전의 연구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참고문헌

『고선책보(古鮮冊譜)』
『청분실서목(淸芬室書目)』(이인영, 보련각, 1968)
『고친 한글갈』(최현배, 정음사, 1961)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