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원좌 ()

연극
단체
1935년 민족항일기 말에 설립되었던 신파극단.
정의
1935년 민족항일기 말에 설립되었던 신파극단.
개설

1935년 2월에 김조성(金肇聲: 본명 金春光)을 대표로 임생원(林生員), 전세종(全世鍾), 전옥(全玉), 이업동(李業童), 전흑천(田黑泉), 정혜순(鄭惠順), 서일성(徐一星), 정복순(鄭福順), 나정옥(羅貞玉), 김신명(金信明), 황순덕(黃順德), 김인옥(金仁玉), 강수일(姜守一), 김송파(金松波), 김원호(金元浩), 손일평(孫一平), 이복본(李福本), 전경희(全景希), 윤익병(尹益炳), 이승하(李承夏), 김윤심(金允心), 박보옥(朴寶玉), 이정순(李正順), 신은봉(申銀鳳) 등 영화변사 출신들이 중심이 되어 스케치·넌센스·노래·만담·영화해설극 등 막간(幕間)에 여흥을 넣는 것을 전문으로 하여 창립된 극단이다.

연원 및 변천

예원좌(藝苑座)는 막강한 자본력을 앞세워 여러 신파극단에서 배우들을 스카웃하여 물의를 일으키면서 이류극단으로 출발하였다. 초기에는 조선극장(朝鮮劇場)·우미관(優美館) 등에서 「남북애화」·「주마등」·「눈나리는 진중」·「암흑가」·「아라비아연무곡」 등 주로 우리 영화 해설극을 공연하였다.

1938년부터는 김조성·박영호(朴英鎬) 등의 창작극도 공연했으나, 흥행만을 의식하여 영화 해설극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따라서 중앙공연보다는 지방순회공연이 많았다. 그러다가 대표인 김조성이 1940년 12월에 어용극단체인 조선연극협회(朝鮮演劇協會) 창립에 큰 몫을 하고부터는 활동무대를 서울로 옮겨서 창작극을 주로 하는 신파극단으로 탈바꿈하였다.

이후에는 이 극단은 동양극장(東洋劇場)·부민관(府民館)·우미관·영보극장(永寶劇場) 등 대극장에서 김조성·임선규(林仙圭)·송영(宋影)·이추운(李秋雲)·박영호·박신민(朴新民) 등의 장막극을 주로 공연하였다.

연출도 이서향(李曙鄕)·안종화(安鍾和)·홍해성(洪海星)·나웅(羅雄) 등 중견들을 초빙하였으며, 공연마다 흥행이 잘 되어 재정상태가 좋아지고 진용이 대폭 강화되었다. 이 결과 1943년 제 2회 국민연극경연대회에 송영 작·나웅 연출의 「역사」로 참가하여 각본상과 여자연기상(임효은)을 받았고, 이어서 제3회 국민연극경연대회에서도 박영호 작·이서향 연출의 「별의 합창」으로 여자연기상(이예란)을 받았다.

주요작품으로는 1935년 2월 21일 조선극장에서 「만화경」, 「생치쌈」, 「활동광」, 「대감놀이」 등 창립공연을 시작으로, 이후 「풍운아」, 「씩씩한 용사」, 「백제의 중신(重臣)」, 「놀아나는 총각」, 「집시와 룸펜」, 「장한몽」, 「독초(毒草)」, 「가정주부교육」, 「역사」 등을 공연했다.

1945년 7월 14일부터 23일까지 약초극장(若草劇場: 現 스카라 극장)에서 박영호 작·안종화 연출 「청실홍실」을 마지막으로 공연하였다. 극단은 광복 이후에 자동적으로 흩어졌다가 그 해 10월 극단 청춘극장(靑春劇場)으로 개칭·개편되었다.

의의와 평가

예원좌는 일제의 탄압으로 신극이 침체되었던 1930년대 후반부터 1940년대 중반까지 대중적 기반을 얻은 대표적 상업극단이다.

참고문헌

『한국 근·현대 연극 100년사』(한국 근·현대 연극100년사 편찬위원회, 집문당, 2009)
『한국 희곡사 연표』(민병욱, 국학자료원, 1994)
『한국연극반세기』(강계식, 현대교육출판부, 1986)
『한국연극사-제2기』(서항석, 예술논문집 17, 대한민국예술원, 1978)
「극단 예원좌 창립 및 제1회 창립공연」(『동아일보』(1935.2.1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