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군읍지 ()

목차
관련 정보
예천군읍지
예천군읍지
인문지리
문헌
경상북도 예천군의 연혁 · 인문지리 ·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읍지.
이칭
이칭
경상북도예천군읍지(慶尙北道醴泉郡邑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예천군의 연혁 · 인문지리 ·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읍지.
내용

1책. 세밀한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표지에는 ‘慶尙北道醴泉郡邑誌(경상북도예천군읍지)’로 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 밖에도 조선 정조 때 편찬된 『예천군읍지』와 1841년(헌종 7)에 편찬된 『예천군읍지』가 규장각 도서에 전한다. 또한, 1895년(고종 32)에 편찬된 『예천군읍지』가 국사편찬위원회에, 1940년 이동락(李東洛)이 편찬한 『예천군지』가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강역(疆域)·군명(郡名)·관직(官職)·산천(山川)·형승(形勝)·방리(坊里)·성지(城池)·임수(林藪)·성씨(姓氏)·풍속(風俗)·호구(戶口)·전부(田賦)·부곡(部曲)·요역(徭役)·군액(軍額)·창고(倉庫)·곡명(穀名)·군기(軍器)·관애(關隘)·봉수(烽燧)·단사(壇社)·능묘(陵墓)·학교(學校)·원사(院祠)·공해(公廨)·불우(佛宇)·누정(樓亭)·제영(題詠)·도로(道路)·교량(橋梁)·도서(島嶼)·제언(堤堰)·장시(場市)·역원(驛院)·목장(牧場)·고적(古蹟)·토산(土産)·진공(進貢)·봉름(俸廩)·환적(宦蹟)·과거(科擧)·음사(蔭仕)·이우(移寓)·생진(生進)·무과(武科)·인물(人物)·효자(孝子)·열녀(烈女) 등으로 되어 있다.

성씨조에는 각 면(面)별로 유명 성씨가 기록되어 있고, 학교조에는 학령(學令)이 부록으로 8조로 나뉘어 적혀 있다. 원사조에는 오천서당(浯川書堂)·능천서당(能川書堂) 등 7개 서당이 포함되어 있고, 제영조는 집승정(集勝亭)·선몽대(仙夢臺)·초간정(草澗亭) 등 35개 정자에 이황(李滉)·김종직(金宗直)·유성룡(柳成龍)의 시가 많이 전해지고 있다.

특기할 사항은 군액·군기·전부·봉름·곡명조 등의 군사·재정적인 내용이 편찬 당시의 실정을 많이 반영하고 있고, 고적·제영·인물·환적·이우조 등의 문화·인물 관계 조항도 내용이 풍부하다.

참고문헌

『예천군읍지(醴泉郡邑誌)』
『경상도읍지(慶尙道邑誌)』
『영남읍지(嶺南邑誌)』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