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구굿

목차
관련 정보
오구굿 / 초망자굿
오구굿 / 초망자굿
민간신앙
의례·행사
경상도와 강원도 영동지방에서 죽은 이의 영혼을 저승으로 천도하기 위하여 행하는 마을굿.
목차
정의
경상도와 강원도 영동지방에서 죽은 이의 영혼을 저승으로 천도하기 위하여 행하는 마을굿.
내용

사령제(死靈祭)의 하나로 전라도의 씻김굿, 서울의 지노귀굿이나 함경도 망묵굿 등과 그 기능이 같다.

오구굿은 행하는 시기에 따라 명칭이 다른데, 죽은 직후 행하는 굿을 ‘진 오구’라고 하고 사망한 지 일년 이상 지난 다음에 하는 굿은 ‘마른 오구’라고 한다.

이는 전라도 씻김굿에서 곽머리씻김과 날받이씻김, 또는 마른씻김과 유사한 분류이다. 진 오구는 죽음으로 인해서 발생한 부정을 가시는 기능이 강하고, 마른 오구는 영혼천도에 보다 주력하여 성격이 조금 다르다. 오구굿은 집단적으로 행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해상사고로 여러 명이 함께 죽은 경우, 집단위령제처럼 굿을 하거나 가족 중에 몇 사람의 영혼을 함께 모시는 것이다. 하지만 원칙적으로는 한 사람씩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굿이다.

경상남도와 경상북도, 강원도 등 지역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지만, 대체적인 오구굿의 제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부정굿을 한 뒤 마을의 수호신인 골맥이 서낭을 모신다. 만약 물에서 죽은 영혼을 모신다면 넋건지기를 하여 넋을 굿당에 모신다. 이어서 조상굿을 하고 초망자굿이 이어진다. 초망자굿은 죽은 이의 넋을 위로하는 것이다.

이때 무당은 한지로 망인의 모습을 오린 넋과 그 넋을 담은 상자인 신태집을 들고 춤추고 죽은 이의 한을 위로한다. 바리데기굿은 발원굿이라고도 하는데 오구신을 청하여 망인을 저승으로 모셔주기를 부탁하는 굿이다. 무당은 부모를 위해 저승에 가서 약물을 길어온 효녀 바리데기가 오구신으로 좌정하기까지의 서사무가를 구연한다.

양중(화랭이, 巫夫)들은 염불을 한다. 신무풀이라고 하는 염불은 죽은 이의 넋을 극락으로 천도하기 위해서 하는 것인데, 경상남도로 내려갈수록 사이사이 염불을 많이 한다. 강신너름은 가족이나 마을사람 중 한 사람이 넋대를 내려 죽은 이의 한을 직접 토로하는 굿이다.

신들린 무당의 굿이라면 이런 제차를 무당이 직접 하지만, 오구굿은 세습무가 주관하기 때문에 무당은 일반인에게 넋을 오르게 하는 역할만 담당한다. 다시 양중은 판염불을 하고 마지막에 꽃노래·등노래·뱃노래로 망인의 혼을 저승으로 보낸다. 뱃노래를 하면서는 길닦음을 한다.

신태집을 긴 천 위에 올려놓고 오가면서 저승길을 닦아 가는 굿이다. 굿에 소요된 모든 것을 태우는 것으로 굿을 마친다.

이 외에 부산지방을 중심으로 전승되는 산 오구굿이 있는데 이는 산 사람이 죽은 후에 영혼이 좋은 곳으로 천도되기를 바라면서 행하는 것이다. 그 기능이나 집단적으로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는 점 등에서 불교의 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와 비슷하다.

참고문헌

『한국무속(巫俗)의 연구』(최길성, 아세아문화사, 1978)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최길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