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랑캐 설화 (오랑캐 )

구비문학
작품
북방 민족의 시조에 관한 설화.
이칭
이칭
오랑캐 어원 설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오랑캐 설화」는 북방 민족의 시조에 관한 설화이다. 본래 개와 사람 사이에서 태어나서 그 후손을 오랑캐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중국 기원의 동아시아 「광포 설화」인 「반호 전설」이 우리나라에 들어와 한국 특유의 「오랑캐 설화」로 변용된 것으로 보인다. 여러 대에 걸쳐 침입을 일삼던 북방 여진족에 대한 혐오감·적대감·멸시감 등과 더불어 자국민의 우월성을 강조하기 위한 의도가 다분히 가미되어 있다.

정의
북방 민족의 시조에 관한 설화.
오랑캐의 어원과 의미

'오랑캐'란 만주 지방에 살던 부족을 지칭하는 표현으로 한국인들은 두만강 지역에 살던 주1을 '오랑캐'라 불렀다. 넓은 의미로는 중화관(中華觀)에 의한 변방의 모든 민족, 즉 동남서북 사방의 오랑캐를 포괄하기도 한다. 「오랑캐 설화」에서는 '오낭구(五囊狗)'에서 ‘오낭개’, '오랑캐'가 되었다고 한다. 오랑캐의 한자 표기 '을량합(兀良合)'은 『고려사(高麗史)』의 「공양왕」에서 최초로 나타나고, '오랑캐'라는 한글 표기는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에 처음 등장한다. '오랑캐'라는 단어는 단순히 '사람'이라는 의미로 원래는 비하의 뜻이 없었지만, 한반도에 유교의 성리학과 중화 사상이 유입되고 정묘호란(1627), 병자호란(1636~1637)을 겪으면서 여진족에 대한 적개심과 증오심이 깊어져 경멸, 비하의 의미가 덧붙여진 것으로 보인다.

내용

「반호 전설(盤瓠傳說)」로도 알려진 「견용국(犬用國) 시조 설화」는 중국 고신씨(高辛氏)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데, 「반호 전설」은 중국 기원의 동아시아 「광포 주3로 우리나라에 들어와 한국 특유의 「오랑캐 설화」로 변용된 것으로 보인다. 성기열(成耆說)이 채록한 「오랑캐 설화」(1967년 경기도 양평군, 정달성)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4]

“한 재상이 얇은 껍질로 된 북을 만들어 이 북을 찢지 않고 소리를 내는 사람을 사위로 삼겠다 했으나, 북이 찢어질까 봐 아무도 치지를 못하였다. 하루는 북소리가 들려 가보니 개가 꼬리로 북을 치고 있었다. 재상은 할 수 없이 그 개를 딸과 혼인시켰다. 개가 밤마다 딸을 핥고 물고 할퀴자, 괴로움을 참다 못한 딸은 개의 네 발목과 입에 각기 주머니를 씌웠다. 그래서 이 개는 ‘오낭(五囊)을 낀 개[狗]’가 되고 말았다. 그 개와 딸이 자식을 낳자 북쪽으로 쫓겨나 후손을 퍼뜨렸다. 그 뒤 '오랑구'가 '오랑캐'로 변하여 북쪽에 사는 사람들을 그렇게 부르게 되었다.”

개가 중국 황제의 사위가 되었다고 설정한, 간도 지방 만주인들의 시조 설화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남자가 낮에는 개가 되고 밤에는 사람으로 변하는데, 남자가 사람으로 변하는 장면을 아내가 엿보게 되었다. 그 뒤부터는 영원히 개의 탈을 벗지 못하고, 머리 부분이 개로 남게 되었다."라는 내용이다. 그래서 지금의 만주인은 머리 위에 긴 머리를 남기어 선조의 주5을 간직한다고 하면서 장발(長髮)의 유래를 설명하고 있다.

「올량합(兀良合) 시조 설화」에서는 불알이 다섯 개 달렸다는 오랑견(五閔犬)이 두만강 가에 빨래하러 나온 처녀를 범하여 머리털이 누런 자식을 낳았는데, 그가 북쪽으로 가서 시조가 되고, 그 후손을 '오랑견'에서 '오랑캐'로 부르게 되었다고 전한다.

의의와 평가

「단군 신화(檀君神話)」 · 「견훤 전설(甄萱傳說)」 등의 이류 주6과 마찬가지로, 이 설화도 원래는 북쪽 사람들이 자기 집단의 신성성(神聖性)과 우월성을 드러내기 위해 개와 사람의 이류 교혼에 의한 시조의 출생담으로 만들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 설화가 우리나라에 수용된 후 '을량합'을 '오랑캐'로 읽게 되면서, '오랑구'라는 주7를 만들어 내면서 이 설화가 형성 · 전승되었을 것이다. 여러 대에 걸쳐 침입을 일삼던 북방 여진족에 대한 혐오감 · 적대감 · 멸시감 등과 더불어 자국민의 우월성을 강조하기 위한 의도가 다분히 가미되어 있다.

참고문헌

원전

『산해경(山海經)』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해외북경(海外北經)』
三品彰英, 『神話と文化境域』(京城 大八洲出版社, 1948)

단행본

成耆說, 『한국구비전승의 연구』(일조각, 1976)

논문

강재철, 「오랑캐(兀良哈)語源說話 硏究」(『비교민속학』 22, 비교민속학회, 2002)
강헌규, 「오랑캐(兀良哈)의 어원」(『공주대 논문집』 31, 공주대학교, 1993)
주석
주1

10세기 이후 만주 동북쪽에 살던 퉁구스계의 민족. 수렵과 목축을 주로 하였는데, 한(漢)나라 때에는 읍루, 후위(後魏) 때에는 물길, 수나라와 당나라 때에는 말갈이라 하였다. 발해가 망한 후에 거란족의 요나라에 속하였다가 아골타(阿骨打)가 1115년에 금나라를 세웠으며, 17세기에 누르하치가 후금을 세웠는데, 뒤에 청나라로 발전하여 중국을 통일하였다. 우리말샘

주3

함경남도 정평군 선덕면 광포에서 유래한 전설. ‘돌부처의 피눈물’이라는 모티프를 중심으로, 가난한 노파의 선행과 불량배의 악행을 통해 권선징악적인 주제를 보여 주는 설화이다. 경상도, 전라도 등지에서도 채록된 바 있다. 우리말샘

주4

성기열, 「설화 ‘오랑캐’의 경우」, 『한국구비전승의 연구』(일조각, 1976), 9쪽.

주5

사물의 형상과 자취를 아울러 이르는 말. 또는 남은 흔적. 우리말샘

주6

이류 교혼담: 사람이 식물이나 동물과 교합하여 관계를 맺는 내용의 설화. 주로 영웅의 신비한 탄생을 그리고 있는 영웅 탄생 설화의 형태가 많다. 교합한 대상에 따라 동물 교구 설화와 식물 교구 설화로 분류할 수 있다. 우리말샘

주7

유음어(類音語): 소리가 유사한 두 개 이상의 단어. 일상 언어에서 장면이나 문맥에 따라 오해를 일으키기 쉬운데, ‘경의’와 ‘경이’, ‘지향’과 ‘지양(止揚)’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