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구 ()

목차
관련 정보
대완구
대완구
과학기술
유물
조선시대에 사용하던 화포(火砲).
이칭
이칭
댕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에 사용하던 화포(火砲).
개설

불씨를 손으로 점화하여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단석(團石) 등의 탄환을 발사하는 화포이다. 일명 ‘댕구’라고도 한다.

내용

1407년(태종 7)경 처음 만들어졌고, 1418년(태종 18)에는 완구의 재료인 동철(銅鐵)이 희귀하여 대마도 경차관(敬差官) 이예(李藝)가 돌아올 때 무쇠[水鐵]로 만든 중국식 화통완구(火筒碗口)를 가져와 개량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1422년(세종 4) 8월에는 전국 해안에 연대(烟臺)를 증축하고 수철화통식 완구와 신포[信碗]를 전국적으로 일제히 보급하는 조치가 취하여졌다. 그 뒤 임진왜란 때에는 이장손(李長孫)이 만든 비격진천뢰를 완구에 사용하여 경주성을 탈환하는 전공을 세웠다.

『화포식언해(火砲式諺解)』 ‘완구조’에 의하면, 대완구·중완구·소완구·소소완구 등 4종으로 구분되고, 『융원필비(戎垣必備)』 ‘완구조’에는 별대완구·대완구·소완구·소소완구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유효사거리는 350보(별대완구)부터 500보(소소완구)까지의 몇 가지 종류로 나누어진다.

현존하는 완구는 1845년(현종 11)에 제조된 청동제로서, 전장 64.4㎝, 통장 54.3㎝, 구경 36.5㎝이며 약실(藥室)보다 포구의 지름이 넓다. 거포시나 이동시에 사용되는 손잡이는 위로 두 개, 선혈(線穴) 약실 위에 두 개가 좌우로 붙어 있다. 약실에는 ‘道光二十五年乙巳八月 訓練都監 磚洞趙等內別備……(도광25년을사8월 훈련도감 전동조등내별비……)’라는 명문이 음각되어 있다.

1868년(고종 15) 이후에는 포를 움직이는 포가(砲架)로 마반차를 사용하였다.

참고문헌

『화포식언해(火砲式諺解)』
『융원필비(戎垣必備)』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