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종의 북벌계획 좌절 이후 숙종의 국토방위 시책에 의하여 이이명이 당시 병조판서로 있으면서 제작한 것이다. 서문에 따르면, 이이명이 중국에 사신으로 갔을 때에 선극(仙克)의 『주승필람지서(籌勝必覽之書)』를 얻어 그에 『성경지(盛京志)』에 기재되어 있는 「오라지방도(烏喇地方圖)」, 그리고 우리나라의 「항해공로도(航海貢路圖)」 와 「서북강해변계(西北江海邊界)」를 합하여 작성한 것임을 알 수 있다.
200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채색필사본. 가로 600㎝, 세로 135㎝의 10폭 병풍으로 되어 있다. 본래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던 것을 규장각으로 옮겨 소장하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에도 같은 이름의 지도가 소장되어 있으나 3폭이 없어진 상태이다. 이밖에도 지도책의 일부로 남아 있는 소형 지도가 있으나 그 내용이 간략할 뿐만 아니라 한반도 부분은 표시되어 있지 않다.
우리나라는 관북지방 · 관서지방만 그렸고 대부분이 중국 지도인데, 동쪽 흑룡강(黑龍江)으로부터 서쪽 산하이관(山海關)을 지나 남당아안(南塘雅安)에 이르며, 그 사이의 성책과 만리장성이 상세히 그려져 있다. 그밖에도 요동반도와 요하의 하천과 산맥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육로는 통과 지점만을 표시해두고 있는 데 비하여 우리나라에서 산둥반도와 산하이관에 이르는 해로는 뚜렷하게 그려져 있다. 이밖에도 요새지의 수비 상태를 지도 안에 특별히 기록해 두고 있으며, 성의 망루에는 적색기가 날리고 진(鎭) · 관(關) · 보(堡) 등 요새는 적색으로 표시하고 있다.
백두산정계비가 세워진 1712년 이전에 만들어진 지도로서, 윤관(尹瓘)이 세운 선춘령(先春嶺)의 고려경(高麗境)이라는 석비(石碑)를 고증할 수 있는 귀중한 지도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