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곡유고 ()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김유경의 시 · 소 · 서한 · 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김유경의 시 · 소 · 서한 · 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서지적 사항

본집 5권 2책, 부록 3권 1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집 및 필사 내력을 알 수 없다. 서울의 김기철(金基喆)이 소장하고 있다.

내용

본집 권1에 시 15수, 만사 12편, 권2·3에 소 33편, 서계(書啓) 1편, 전(箋) 1편, 권4에 서한 7편, 서(序) 2편, 기 2편, 발 2편, 제문 7편, 고유문 2편, 응제문 6편, 권5에 묘표 6편, 행장 2편, 잡저로 가계(家誡)·어록잡기(語錄雜記)·자서문(自敍文) 각 1편이 실려 있다. 부록 권1에 저자에게 내려진 교서 2편, 사제문(賜祭文) 및 사우들의 고문(告文) 1편, 제문 6편, 유소(儒疏)·연설(筵說) 각 1편, 권2에 저자의 행장, 권3에 시장(諡狀)·묘지명·신도비명 각 1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의 핵심은 권2·3에 수록된 33편의 상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신임사화를 전후한 노론·소론의 갈등과 영조의 탕평책에 대한 시비, 이인좌(李麟佐)의 난 뒤의 급진 소론에 대한 처분, 노론 4대신의 신원 문제 등 당시의 정치 현안에 대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그 중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저자가 성균관장의(掌議)로 있을 때 대보단(大報壇)의 축조를 건의한 「청축대보단소(請築大報壇疏)」, 1725년(영조 1) 대사헌에 임명되었을 때 김일경(金一鏡)의 대역죄를 논하고 조태구(趙泰耉)·유봉휘(柳鳳輝)·이광좌(李光佐) 등 소론 대신들을 탄핵하면서 노론 4대신의 신원을 주장한 「사대사헌잉론토역소(辭大司憲仍論討逆疏)」 등이다.

1727년 『숙종실록』의 개수를 반대하고 소론을 공격한 「논사사소(論史事疏)」, 1730년 형조참판을 사직하면서 노론의 입장을 변명한 「정미반옥후잉사형조참판소(丁未反獄後仍辭刑曹參判疏)」, 1739년 영조가 왕위선양 하교를 철회했을 때 탕평책을 비판한 「전선환수후진계겸걸치사소(傳禪還收後陳戒兼乞致仕疏)」 등도 주목된다.

당쟁의 시비에 관련된 이 일련의 소는 급진 노론파에 속했던 저자의 당론으로서 편파적인 면도 있지만, 신임사화 이후 노론·소론의 갈등 양상과 그들의 의식 구조를 잘 보여준다. 또, 중재와 화합을 노선으로 한 영조의 탕평책을 최대의 정치 폐해로 비판한 시비사정(是非邪正)의 논리로 노론의 전통적인 붕당정치 관념을 대변한다는 점에서 눈을 끈다.

부록 가운데 윤봉구(尹鳳九)가 쓴 행장과 영의정 유척기(兪拓基)가 쓴 신도비문도 당시의 정치 상황과 저자의 활동을 알려주는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경종실록(景宗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구암집(久菴集)』
집필자
이영춘(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