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궁 ()

목차
관련 정보
용궁군신증읍지
용궁군신증읍지
인문지리
지명
경상북도 예천 지역의 옛 지명.
이칭
이칭
축산현(竺山縣), 원산현(園山縣)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예천 지역의 옛 지명.
내용

본래 신라의 축산현(竺山縣, 또는 園山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예천군의 영현으로 하였다. 995년(성종 14)용주(龍州)로 승격하고 자사(刺史)를 두었다가 1005년(목종 8) 자사를 파하였으며, 1012년(현종 3) 용궁군으로 낮추어 상주목의 임내로 하였다.

1172년(명종 2) 감무(監務)를 두었고, 1413년(태종 13) 감무를 현감으로 하였다. 1895년(고종 32) 안동부 소관의 용궁군이 되었다가 다음해 경상북도 내의 군이 되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예천군에 통합되어 용궁면이 되었다.

용궁이라는 지명은 용담소(龍潭沼)와 용두소(龍頭沼)의 용이 이루어 놓은 수중의 용궁과 같이 지상에도 이러한 용궁을 만들어 보자는 뜻에서 지은 것이라 한다. 조선시대에는 치소가 용비산(龍飛山) 북쪽의 낙동강 지류인 남천(南川) 유역에 있었으나 철종 때 서쪽으로 옮겨 성화천(省火川) 주변에 자리잡은 것이다.

외부와의 연결은 도로보다 하천을 많이 이용하여 남쪽의 하풍진(河豊津)이나 동쪽의 사창(社倉) 등을 통하여 물자를 운반하였다. 북쪽의 문경 관할이었던 조령산성(鳥嶺山城)에는 용궁의 산창(山倉)이 있어 충청도 지역으로 물자를 운반하였다. 하천 유역에는 부취루(浮翠樓)ㆍ수월루(水月樓)ㆍ청원정(淸遠亭) 등의 누정이 있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대동지지(大東地志)』
『경상북도사(慶尙北道史)』(경상북도사편찬위원회, 1983)
『한국지명요람(韓國地名要覽)』(건설부국립지리원, 1982)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