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당집 ()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유학자, 채우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0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유학자, 채우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0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40년 채우석의 제자 오석우(吳錫禹)가 편집·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오석우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10권 5책. 석인본. 국립중앙도서관, 단국대학교 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2에 사(辭)·부(賦) 각 1편, 시 376수, 권3∼5에 서(書) 149편, 권6에 서(序) 10편, 기(記) 5편, 발(跋) 5편, 권7에 잠(箴) 1편, 명(銘) 6편, 표(表) 1편, 전(箋) 1편, 자사(字辭) 1편, 계사(啓辭) 2편, 상량문 1편, 제문 9편, 권8에 묘문 8편, 행장 5편, 권9·10에 잡저 20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소재나 시형이 다양하다. 그 가운데 이황(李滉)의 시를 차운한 것이 7수나 되어 저자가 이황을 매우 숭모(崇慕)했음을 알 수 있다. 서(書)는 대개 사우(師友)나 친지에게 안부를 묻거나 시대적 불운을 한탄하는 내용이 많다. 「상수당이장(上修堂李丈)」은 스승 이남규(李南珪)에게 보낸 것으로, 당시 시대 상황을 개탄하며 자신의 불우함을 적고 있다. 이남규에게 보낸 서신은 모두 6편인데, 대개 학문과 처신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잡저 중 「심통성정론(心統性情論)」·「동정설(動情說)」 등은 이기(理氣)·심성(心性)에 관해 논한 것이다. 「시은설(市隱說)」은 시대적 불만과 자신의 은둔 생활의 불가피성을 적은 글이다. 「속전신론(續錢神論)」은 노포(魯褒)의 「전신론」에 대해 비판적 견해를 밝힌 것으로, 돈의 역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논술하였다. 「수한론(水旱論)」·「구천론(句踐論)」 등은 중국 고사를 인용하여 사람이 취해야 할 생활 태도와 마음가짐에 대해 수필 형식으로 쓴 글이다.

「질서비고(疾書備考)」는 저자가 일생 동안 공부한 것 가운데 특히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모아 엮은 것이다. 『심경』·『근사록』을 비롯해 「서명(西銘)」·「조식잠(調息箴)」·「경재잠(敬齋箴)」등 존양(存養)에 관한 내용이 많다. 그 밖에 이황·조광조(趙光祖)·김굉필(金宏弼) 등의 언행을 채록한 글도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