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김지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김지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934년 후손 택현(澤賢)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의 일부가 낙장(落張)되어 서문이 있었는지의 여부는 알 수 없으며, 권말에 정창묵(鄭昌默)의 발문이 있다. 권수에 목록이 있으나 실제의 내용과 약간 다르다. 연세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5수, 제문 2편, 묘지 5편, 책(策) 5편, 권2에 부록으로 가장·묘갈명·만사·자사(字辭)·투증(投贈)·발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발문에 의하면, 지구(知舊)·문인(門人)과 주고받은 문답편지와 권간(權奸) 이이첨(李爾瞻)을 참(斬)할 것을 상주한 상소문 등 많은 유문이 있었으나, 모두 산일되어 이 책에는 극히 일부의 유문만이 수록된 것이라 한다.

이 책에 수록된 시는 분량은 아주 적으나 모두 고매한 의경(意境)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광해군이 정치를 어지럽히자 은일(隱逸)로 생활하던 지조있는 선비들과의 수창(酬唱)·연구(聯句)로 지은 시들은 그의 처세관이나 사상적 배경의 일면을 짐작하게 한다.

「연악서당문회연구(淵嶽書堂文會聯句)」는 정경세(鄭經世)·조찬한(趙纘韓) 등 당시의 명사 18인과 더불어 오언이구로 연작한 시이다. 또한, 「임술칠월기망범주동강동유범이십오인운운(壬戌七月旣望泛舟東江同遊凡二十五人云云)」은 1622년(광해군 14) 동강에서 뱃놀이하면서 25인의 풍류객들과 함께 지은 것으로 운치와 서정성이 두드러진다.

이밖에 「잉유연악분운득구자(仍留淵嶽分韻得拘字)」는 연악서당에 모여 시국을 한탄한 내용을 담은 시이다. 제문에는 정경세에 대한 것이 있다. 책은 모두 과거공부할 때의 의작(擬作)으로, 군학(君學)과 시무를 내용으로 하고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