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재집 ()

목차
한문학
문헌
조선 후기의 문인, 김노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4년에 필사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인, 김노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4년에 필사한 시문집.
내용

8권 4책. 필사본. 저자에 관한 기록은 실려 있지 않다. 그러나 강종희(姜宗喜)·김인식(金寅植)이 쓴 서문에 의하여 영조∼철종 때까지 생존하였던 인물로 보인다. 1884년(고종 21) 손자 인식(寅植)이 편집하고 필사하였다.

≪우재집≫ 권두에 인식·이정익(李庭益)·강종희(姜宗喜)·김영식(金英植)의 서문이 있다. 권1은 서(序) 8편, 논(論) 4편, 서(書) 8편, 기(記) 4편, 권2는 전(傳) 3편, 잡저 6편, 제문 20편, 권3∼6은 칠언율시 647수, 권7은 칠언고시 5수, 칠언배율 6수, 오언고시 4수, 오언배율 1수, 칠언절구 38수, 육언시 3수, 오언절구 14수, 오언율시 29수, 권8은 오언율시 134수가 수록되어 있다.

≪우재집≫ 서(序) 중에 <소집자서 小集自序>에서는 “만일 바람·꽃·달·이슬 같은 것을 소홀히 한다면, 이는 시를 알지 못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생활 주변의 심상한 것들도 문학 소재로 수용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그의 시론은 시사(詩社)에 참여하였던 중인층의 문학관과 맥을 같이하는 것이다. 동시에 시사 관련인물의 차운시·화운시를 많이 남기고 있다. 그 인물들의 신분 및 성격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우재집≫의 시는 칠언율시가 주조를 이루며 다양한 시형식을 시도하였다.

≪우재집≫ 권3·4에는 시사에 참여하였던 사람들과의 교유시와 사경시(寫景詩)가 많다. 권5에는 <남한팔경 南漢八景>과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물건, 초목·금수 등의 자연물, 비·눈 등의 자연현상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것이 수록되어 있다. 권6에는 회문시(回文詩), 연환체(聯環體)의 시와 인명·국명·성함자호(姓啣字號) 등을 사용하여 읊은 시, 설날·칠석 등의 세시풍속을 다룬 작품 등 다양한 소재의 시들이 수록되어 있다.

≪우재집≫ 서(書)와 논에서는 안영(晏蘡)·사안(謝安) 등의 중국 인물의 행적을 논술하였다. <성설 性說>에서는 인간성이 시대·지역에 따라 다르지 않다. 성을 온전히 하고 덕을 밝히면 선하고 그렇지 못하면 악하다는 논설을 개진하였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