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 )

목차
관련 정보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서예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에 있는 고려시대 승려 원응국사의 탑비.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淸道 雲門寺 圓鷹國師碑)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경북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1794-12번지 운문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에 있는 고려시대 승려 원응국사의 탑비.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현재 귀부(龜趺)와 이수(螭首)는 상실되었고, 세 조각으로 절단된 비신만이 복원되어 있다. 비의 주인공인 원응국사는 일찍 출가하여, 1085년(선종 2) 송나라에 가서 화엄의 뜻을 전하고 천태교관(天台敎觀)을 배워 귀국하였다. 1106년(예종 1) 중대사(重大師), 1109년 선사(禪師)가 되었고, 1144년(인종 22) 운문사에서 93세로 입적하였다.

비의 앞면에는 그의 행적이 행서로 새겨져 있으며, 뒷면에는 국사의 문도들의 성명이 해서로 새겨져 있다. 건립 연대는 비문이 파손되어 알 수 없으나, 국사가 입적한 다음 해 인종이 국사로 봉하고, 윤언이(尹彦頤)에게 비문을 짓게 하였다는 비문 내용으로 보아 대략 1145년 이후로 추정된다.

서자(書者)에 대해서는 알 수 없으나, 왕희지의 행서를 기반으로 생기가 도는 글씨이다. 비신 앞면 상단부에는 ‘圓應國師碑銘(원응국사비명)’이라는 제액이 해서로 새겨져 있다.

참고문헌

『대동금석서(大東金石書)』
『해동금석원(海東金石苑)』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상
『한국금석문대계』3(조동원, 원광대학교출판국, 1983)
『朝鮮金石攷』(葛城末治, 東京: 國書刊行會, 193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