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악문집 ()

목차
관련 정보
운악문집
운악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이함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2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이함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2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판본. 1862년(철종 13) 주손 현발(鉉發)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휘재(李彙栽)의 서문이, 권말에 김대진(金岱鎭)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87수, 만사 12수, 부(賦) 1편, 표(表) 2편, 권2에 서(書) 7편, 축문 2편, 제문 4편, 잡저 3편, 책(策) 4편, 권3은 부록으로 행장·묘갈명·묘지명·가승(家乘)·충효당기·죽리관기(竹裏館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세제일입직기제아(歲除日入直寄諸兒)」·「낙중서회정백문서(洛中書懷呈白文瑞)」 등의 감회시와 「과금오유감(過金烏有感)」·「과탄금대(過彈琴臺)」 등의 제영시가 많다. 부는 「천지지수오기리부(天地之帥吾其理賦)」로 저자의 성리학관을 엿볼 수 있다.

잡저는 가훈인 「대훈(大訓)」·「유계(遺戒)」와 사서를 중심으로 학문관을 밝힌 「논학설(論學說)」이 있다. 책은 「문충간(問忠諫)」·「문시무(問時務)」·「경자전책(庚子殿策)」·「기유전책(己酉殿策)」으로 모두 임금에게 성군이 되기를 요구하는 간절한 충언이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