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재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정기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8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정기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2책. 활자본. 1918년 후손 만조(萬朝)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인보(鄭寅普)의 서문과 조병건(趙秉健)의 제사(題辭)가 있고, 권말에 만조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386수, 권2에 기(記)·서(序)·책(策)·잡저·연보·부록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백제성(百濟城)」·「과송경(過松京)」·「만월대(滿月臺)」 등 제영(題詠)이 많으며, 청빈한 관료상이 엿보이는 「복거병서(卜居幷序)」도 있다.

아내에게 쓴 「기내(寄內)」는 유가(儒家)의 범주에서는 보기 드문 흥미있는 작품이다. 잡저의 「의상한승상서(擬上漢丞相書)」·「의박제갈각유중서(擬駁諸葛恪諭衆書)」 등은 습작인 의작(擬作)이다.

삼정(三政)의 모순을 논한 「삼정책(三政策)」은 사료적 가치가 있고, 「조천위학불상론(助天爲虐不祥論)」은 일종의 도덕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부록에는 당시 명사들의 제시(題詩)인 「옥천당음고소제(玉泉堂吟藁小題)」 등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