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평문집 ()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송능상의 시 · 서(書) · 소 · 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송능상의 시 · 서(書) · 소 · 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서지적 사항

10권 4책. 목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자와 간행 연도를 알 수 없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서울대학교 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고려대학교 도서관·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총목차는 없고, 각 권두에 권별 목차가 있다. 권1에 시 59수, 권2에 소(疏) 10편, 서계(書啓) 6편, 장(狀) 1편, 권3∼7에 서(書) 106편, 권8에 서(序) 1편, 기(記) 6편, 인(引) 1편, 제문 3편, 고문(告文) 3편, 권9·10에 잡저 14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문학적인 면보다는 학술적인 면이 두드러진다. 시 역시 학문적인 제재가 많다. 서(書)에는 스승 한원진(韓元震)을 비롯해 윤봉구(尹鳳九)·이재(李縡)·임성주(任聖周)·송환기(宋煥箕) 등 노론 학자들과 학문에 관하여 문답한 서한이 많다.

기의 「종회사사실기(宗晦祠事實記)」·「종회사이건기(宗晦祠移建記)」는 송시열(宋時烈)이 청주 화양동으로 들어가기 전에 제자들을 훈도하던 곳에 김천택(金天澤)·민익수(閔翼洙) 등이 세운 사묘(祠廟)인 종회사에 관한 기록이다. 종회사는 송시열이 정계에 등장하기 전에 살던 곳인 동시에 말년에 퇴거한 곳이다. 따라서 이 기록은 송시열의 족적을 살펴보는 데 참고가 된다.

잡저 중 「계사전질의(繫辭傳質疑)」·「역학계몽질의(易學啓蒙質疑)」 등은 『주역』의 계사전과 주희(朱熹)의 『역학계몽』에 관한 연구서이다. 「고비정목(皐比正目)」은 주희의 『가례』와 『의례(儀禮)』·『주례(周禮)』에 관한 3개항에 걸친 문목(問目)이다.

「간서잡록(看書雜錄)」은 『악기(樂記)』·『맹자』·『장자(莊子)』에 관한 연구서로, 도량형에 관한 자의(字義)를 고증해놓은 것이 있어 흥미를 끈다. 규(圭)·촬(撮)·초(抄)·작(勺)·합(合)과 되[升]·말[斗]·섬[石] 등 양(量)에 관한 단위, 서(黍)·누(絫)·수(銖)·냥(兩)·근(斤)·균(勻)·석(石) 등 무게의 단위가 고증되어 있어 도량형 연구에 도움이 된다.

「독례수차(讀禮隨箚)」는 『의례』에 관한 규정을 초록해놓은 것이다. 「제목주의(題木主議)」는 『가례』에 관한 의논을 기록해놓은 것이다. 「비래강록(飛來講錄)」은 『대학』에 대한 제자 문흠(文欽) 등의 문의에 답변한 강의록이다. 「독서법(讀書法)」에서는 글을 읽는 방법으로서 삼도(三到)·삼요(三要) 및 문장구조의 형태법 설명인 십이법(十二法)을 제시하고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