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학문집 ()

운학문집
운학문집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조평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8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조평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8년에 간행한 시문집.
서지사항

9권 3책. 석인본. 1898년 후손 병용(柄鏞)이 남아 있는 글을 수집하여 간행하였다. 그 뒤 희제(熙濟)의 편집을 거쳐 1949년 11세손 현수(顯洙)가 편집, 중간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내용

권두에 송병선(宋秉璿) · 조성희(趙性熹)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후손 현수의 발문이 있다.

권1 · 2에 시 214수, 소(疏) 3편, 서(書) 4편, 권3에 서(序) 7편, 권4에 기(記) 8편, 발(跋) 2편, 권5에 제문 5편, 축문 1편, 권6에 명(銘) 3편, 비명 4편, 묘갈명 4편, 부록의 권1∼3에 녹권(錄券) · 연보 · 행장 · 묘갈명 · 제문 · 학정사봉안문(鶴亭祠奉安文) · 고유문 · 만사 · 설보비명(雪洑碑銘) · 문인록(門人錄)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 시는 주로 자연을 자신의 은거생활에 흡수시켜 읊은 것과 우국충정을 표출한 서정시가 많다. <읍폐모 泣廢母>는 1613년(광해군 5)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모론이 일어나자 윤리가 퇴폐함을 개탄하는 내용이다. <서궁원 西宮怨>은 인목대비가 서궁에 유폐되었을 때의 처절한 사연을 읊은 것이다.

<징병 徵兵>은 병자호란 때 의병을 모집하는 내용이다. <정축작 丁丑作> · <호퇴후개연유제 胡退後慨然有題> 등도 병자호란 당시의 상황을 알 수 있는 작품들이다. 정구(鄭逑) · 김상헌(金尙憲) · 소현세자(昭顯世子) · 봉림대군(鳳林大君) · 안방준(安邦俊) · 장유(張維) · 이식(李植) · 김집(金集) 등 당시 명공석학(名公碩學)들과 화답한 것도 상당수에 달한다.

소 중 <진시폐소 陳時弊疏>는 1624년(인조 2) 구언(求言)에 대한 상소문이다. 정치적 부패를 타개하고 백성을 구제하기 위한 방책을 진달하고, 정치에 대한 자신의 소신을 피력하고 있다.

서(書) 중 스승 김장생(金長生)에게 올린 글은 국가의 안위에 관한 논술이다. 노등(盧縢) · 양유의(梁有義) 등에 답한 글은 병자호란 때 의병을 모집하고 의곡(義穀)을 운반한 데 대한 기록이다.

서(序) 중 <시사의총서 始祀義塚序>와 <중제시사의총서 重題始祀義塚序>에는 1632년 저자가 제원찰방(濟原察訪)에 재임중 금산군수 김성발(金聲發)과 협력하여 임진왜란 때 순국한 인물들의 칠백의사총(七百義士塚)을 수리하여 오단(五壇)으로 만들고, 조헌(趙憲) · 고경명(高敬命)을 봉향한 일의 전말과 의사들의 행적이 기록되어 있다.

제문의 <제본조수륙장관문 祭本朝水陸將官文> · <제수륙사졸문 祭水陸士卒文> · <금산종용사춘추상향축문 錦山從容祠春秋常享祝文> 등은 저자 자신이 지은 것이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저자의 생애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양란에 걸쳐 있으므로, 국난에 피폐된 당시의 상황을 살펴보는 데 참고자료가 된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