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계집 ()

유계집
유계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강명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8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강명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8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898년에 간행되었다. 서문과 발문은 없다.

서지적 사항

8권 4책. 목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 규장각 도서, 연세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2에 시 68수, 서(書) 147편, 권3에 서(書) 53편, 잡저 14편, 권4에 잡저 25편, 서(序) 14편, 권5에 기(記) 12편, 발(跋) 18편, 명(銘) 2편, 논(論) 4편, 권6에 책(策) 1편, 축고문(祝告文) 5편, 제문 30편, 권7에 묘표 4편, 묘지명 16편, 묘갈명 2편, 행장 3편, 유사 1편, 권8에 유사 2편, 전(傳) 3편, 부록으로 만장 8편, 제문 8편, 가전(家傳) 1편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독서우감(讀書偶感)」·「등태백봉(登太白峯)」·「유계팔영(柳溪八詠)」 등이 주목할 만하다. 서(書)는 성근묵·김귀영(金貴榮)에게 보낸 것이 많다.

잡저 가운데 「자실(自失)」·「자경(自警)」·「자제(自題)」·「술회(述懷)」 등은 유자(儒者)의 길을 지키며 은거하고자 하는 뜻을 나타냈다. 「권학문(勸學文)」·「시제랑문(示諸郎文)」·「고학자문(告學子文)」에서는 학문을 하는 것은 이치를 궁구해 사람다운 사람이 되는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두문동지(杜門洞志)」는 저자의 14대조인 강회중(姜淮仲)이 두문동에 들어간 사실과 정조가 강회중의 충절을 높이 산 사실 등을 기록한 것이다. 「척사학(斥邪學)」은 천주교의 교리가 유교 윤리에 배치됨을 상세히 기술한 것이다. 「천천기이(穿川記異)」는 삼척 지방에 있는 천천(穿川)에서 엄생(嚴生)이 겪은 전설을 기록한 글이다.

논에는 「자공화식론(子貢貨殖論)」·「평천화석론(平泉花石論)」·「송고종론(宋高宗論)」·「곡단론(曲端論)」 등이 있다. 「일관책(一貫策)」은 한 가지 원리가 모든 사물에 관철된다는 ‘일본만수지도(一本萬殊之道)’를 역설한 것이다. 전에는 「사림박공전(沙林朴公傳)」·「열부성씨전(烈婦成氏傳)」·「김발전(金發傳)」 등이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